숲노래 말빛 2021.9.6.

말 좀 생각합시다 70


 같은 것 같다


  닮거나 하나로구나 싶을 적에 ‘같다’를 붙입니다. “나비 같구나”라든지 “서로 키가 같구나”처럼 씁니다. “꿈 같은 일”이나 “옛날 같으면 어림도 못 하는데”나 “말 같지 않은 말”처럼 쓰임새를 넓히고, “마음 같아서는 나서겠는데”나 “나쁜 놈 같으니라구”처럼 쓰기도 합니다.


  이러다가 “비가 올 것 같다”처럼 ‘것’을 앞에 넣은 ‘-것 같다’ 같은 말씨가 불거집니다. 이 말씨가 불거지면서 “잘 모르는 것 같아요”나 “그런 것 같은 것 같은데요”처럼 꼬리를 늘이는 말씨까지 나타납니다.


  국립국어원 낱말책은 “같다 9. 추측,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내는 말”로 풀이하면서 이 쓰임새를 다룹니다만, 알맞지도 올바르지도 않습니다. 어림하는 말씨는 ‘-것 같다’가 아닌 ‘듯하다’입니다. “동생은 잘 모르는 듯해요”나 “비가 올 듯해요”처럼 쓸 적에 우리말입니다.


  우리말을 우리말같이 쓸 노릇입니다. 우리말을 우리말이 되도록 쓸 적에 수수하면서 빛납니다. 우리말 같지 않은 우리말을 마치 우리말이라도 되는 듯 쓴다면, 어른으로서도 어른 같지 않으며, 아이들은 아이답지 않게 말빛을 잃거나 말결을 헤매고 맙니다.


  쉬워요. 우리말은 ‘듯하다’입니다. 이 말씨를 바탕으로 말끝을 살며시 바꾸면서 결을 살리면 됩니다. “살고 있는 것 같다”라면 “사는 듯하다”로 바로잡고, “사는구나 싶다”나 “살아가네 싶다”처럼 말끝을 바꿀 만합니다. “아닌 것 같아”는 “아닌 듯해”로 바로잡고, “아니지 싶어”나 “않구나 싶어”나 “않은 듯한걸”이나 “않을 텐데”나 “아니라고 생각해”처럼 말끝을 바꿀 만하지요.


  더 헤아린다면 어느 일을 놓고서 우리 스스로 즐겁고 의젓하며 알맞게 생각을 나타낼 자리에 생각을 꺼리면서 ‘-것 같다’가 확 퍼집니다. “저는 아니라고 생각해요”라 말하면 되는데, “저는 아닌 것 같은데요”처럼 말을 돌린달까요. 사람들이 홀가분히 생각을 밝히면서 이야기를 펴는 길이 억눌린 탓에, 생각대로 말하면 따돌리거나 괴롭히는 막짓이 판치는 바람에, 어느새 스스로 엉뚱말에 길듭니다.


ㅅㄴㄹ


이제 너무나 획일적이 되어 가는 것 같다

→ 이제 너무나 판박이로 되어 간다

→ 이제 너무나 틀에 박혀 버린다

→ 이제 너무나 판에 박혀 버린다

→ 이제 너무나 똑같이 되어 간다

《현실과 이상》(송건호, 정우사, 1979) 44쪽


무엇인가 물어보고 있는 것 같아요

→ 무엇인가 물어보는 듯해요

→ 무엇인가 물어보나 봐요

《존 선생님의 동물원》(이치카와 사토미/남주현 옮김, 두산동아, 1996) 28쪽


저 때문에 어머니 집 나간 것 같아

→ 저 때문에 어머니 집 나간 듯해

→ 저 때문에 어머니 집 나갔지 싶어

《내가 미운 날》(오승강, 보리, 2012) 61쪽


술은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인 것 같다

→ 술은 없어서는 안 되는 살림 같다

→ 술은 없어서는 안 되지 싶다

《나의 살던 북한은》(경화, 미디어 일다, 2019) 65쪽


꿈을 꾸는 것 같아요

→ 꿈을 꾸나 봐요

→ 꿈을 꾸는 듯해요

《고요히》(토미 드 파올라/이순영 옮김, 북극곰, 2021) 2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