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미레 팡파레 4
마츠시마 나오코 지음 / 텀블러북스 / 2016년 10월
평점 :
품절


숲노래 푸른책/숲노래 만화책 2021.8.22.

늘 한 걸음씩


《스미레 팡파레 4》

 마츠시마 나오코

 김명은 옮김

 텀블러북스

 2016.10.30.



  《스미레 팡파레 4》(마츠시마 나오코/김명은 옮김, 텀블러북스, 2016)을 읽으면 어린씨 스미레가 천천히 내딛는 하루를 들려줍니다. 스미레 곁에 있는 여러 어린씨도 서두르지 않고서 한 발씩 내딛자고 생각합니다. 때로는 헤매고 고단해서 쉬지만, 때로는 어렵거나 골치가 아파서 멈추지만, 때로는 영 아니다 싶어서 돌아가지만, 늘 한 걸음씩입니다.


  뭐, 두세 걸음씩 내딛을 만하다면 두세 걸음씩 내딛을 사람이 있을 테지요. 너덧 걸음쯤 대수롭지 않은 사람이라면 너덧 걸음을 껑충 뛸 테고요. 어린씨 스미레는 다른 사람 걸음걸이를 물끄러미 보기는 하되 따라할 생각은 없습니다. 스스로 가장 되고픈 모습을 마음에 그리고서 이 그림을 늘 떠올리면서 차근차근 걸어가려 합니다.


  뱁새더러 한새 걸음을 따라하지 말라는 옛말이 있어요. 뱁새는 초라하거나 모자란 새가 아닙니다. 한새는 잘나거나 멋진 새가 아닙니다. 모든 새는 저마다 다른 삶을 지으려고 저마다 다른 몸으로 이 별에 찾아와요. 우리는 저마다 다르게 사랑을 빛내려고 저마다 다른 마음하고 몸이 되어 이 별에 찾아옵니다.


  둘레 여러 사람하고 우리 스스로 빗대는 버릇을 멈출 적에 비로소 참나를 보고 참사랑을 느낍니다. 둘레 눈치를 그만 볼 적에 바야흐로 참빛을 깨닫고 참말을 펴거나 참글을 씁니다.


  자랑으로는 자라지 않습니다. 사랑일 적에 자랍니다. 우쭐거리려 한다면 윗자리에 앉을는지 모르지만, 웃질에 스스로 갇히기 마련입니다. 어깨동무를 할 뜻일 적에 나란히 서면서 소근소근 이야기꽃을 피워요. 이야기를 꽃으로 피우기에 스스로 빛나면서 즐거이 하루를 짓습니다.


  늘 한 걸음씩입니다. 다만, 앞으로 가는 한 걸음은 아닙니다. 즐겁게 삶을 이루고 살림을 지으며 사랑을 빛나는 한 걸음입니다.


ㅅㄴㄹ


“스미레라면 꽃이름?” “아, 맞아. 제비꽃에서 이름을 따왔어.” (10쪽)


“너, 너흰 일본인이잖아. 우수한 일본인 우주비행사도 많은데, 정말 몰라?” “미, 미안해.” (15쪽)


“그건, 남의 일이니까 할 수 있는 얘기지. 지금까지 당연했던 것들이 사라져 버렸을 때, 앞으로 어떻게 될까, 매일 울면서 지내게 될까, 밥은 맛있게 먹을 수 있을까, 활기차게 아침에 일어나서 학교에 다닐 수 있을까, 그렇게 생각나는 슬픈 일들을 전부 상상해 봤어. 그랬더니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라고!” “뭐, 뭐가?” “생각보다 24시간 내내 슬프지는 않았어.” (29쪽)


“그러니까 지금부터 그렇게 걱정 안 해도 돼. 일본어도 이렇게 잘하니까, 분명 러시아에 돌아가도 금방 말할 수 있게 될 거야. 그러니까 지금은 송사리 생각만 하자. 만약 송사리 자체가 신기하지 않아서 자랑거리가 못 돼도, 지금까지 못 본 걸 보고, 손체프 너 자신한테 선물해 주면 돼.” (30쪽)


‘굉장하다. 이렇게 슥 하고 나아가다니. 몰랐어. 물속을 헤엄친다는 건 이렇게 기분이 좋구나.’ (118쪽)


“조금만 있으면 나아질 거야.” “조금만이 얼만큼인데?” “나도 모르지만, 하지만 언젠가, 언젠가 꼭 다정한 아빠로 돌아올 거야.” (151쪽)


“아마 직박구리일 거야. 작은 아기 새가 3마리 모두, 무사히 둥지를 떠나갔어!” (154쪽)


#松島直子

すみれファンファーレ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곁책》, 《쉬운 말이 평화》,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