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6.3. 논리 이론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어제 모처럼 뒷골짝에 다녀왔습니다. 아이들이 부쩍 크면서 함께 자전거를 타기에 만만하지 않은데, 뒷골짝 찬물에 발을 담그려고 가볍게 숲길을 사락사락 헤쳤습니다. 몇 해 앞서 ‘숲’이란 이름을 붙여 노래꽃(동시)을 쓴 적이 있으나 새삼스레 숲을 다시 노래하고 싶더군요. 다만 예전에 누린 숲하고 오늘 맞이하는 숲은 다르니 ‘숲에서’처럼 토씨를 덧달아서 쓸 생각입니다. 글이름을 붙이고서 죽 이어서 쓰려다가 우체국 마감이 닥쳤고 해가 기울려고도 해서 이다음으로 넘겼어요.


  며칠 동안 ‘노하우’를 풀려다가 미루었는데, 이러면서 ‘밀다’라는 낱말을 놓고서 노래꽃을 써냈습니다. ‘미루다·밀다·미리·믿다·미닫이’가 말밑이 같구나 싶어요. 아마 ‘밑’도 ‘미’가 뿌리이면서 얽히는 실마리가 있겠지요. 이러다가 오늘 ‘논리·논리적·논리정연’으로 이어가는 일본말씨를 추스르는데, ‘논리’를 뒤집은 ‘이론·이론적’을 거의 똑같이 쓰는구나 싶더군요. 더구나 이 말씨는 “참 논리적이구나”나 “듣고 보니 이론적이로군” 같은 자리로도 뻗어요. 이때에는 ‘좋다·훌륭하다’를 써야 알맞을 텐데, 우리말이 설 자리를 차츰 잃는 셈입니다.


  새벽부터 오는 비는 여름들을 촉촉히 적십니다. 비는 오는데 바깥은 환합니다. 비구름이 새하얗습니다. 비가 줄줄이 오는데 개구리는 조용합니다. 멧새도 조용합니다. 마을고양이도 조용합니다. 이 시골에서 오가는 부릉이(자동차)도 없다시피 합니다. 책숲 꽃종이(소식지)를 나름일꾼(택배기사)이 부려 놓고 가셨는데, 이분이 드나든 소리조차 못 들을 만큼 온통 빗소리입니다. 오늘은 열네 살 푸른씨가 국을 끓입니다. 부엌일을 맡아 주어 고맙구나.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