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쓰기란 살림하기처럼

재미있고 신나야 한다.

그런데 요즈음 온갖 글쓰기는

사람들을 너무 쳇바퀴나 굴레에 가두어

마음껏 피어나지 못하게 막는다.

아직도 글힘(문자 기득권) 무리가

옥죄려는 꿍꿍이로구나 싶은데,

맞춤길이나 띄어쓰기는 다 틀려도 좋다.


이야기가 있으면 되고

삶을 줄거리로 짜면 된다.

이뿐이다.

글은 삶으로 그냥 쓰면 된다.

틀린글씨(오탈자)는 편집자가 잡아 주면 된다.

걱정하지 말고 무엇이든 다 쓰면 된다.


2019년 가을을 끝으로 

"말 좀 생각합시다"를

더 안 썼다.

이 글꾸러미를 책으로 내기로 한 곳에서

갑자기 그만두기로 하면서

어쩐지 기운이 빠져서 안 썼는데

누가 책으로 내주든 말든

나도 스스로 즐겁게 쓰면 될 뿐인

우리말 이야기이지.

.

.

숲노래 우리말 2021.5.8.

말 좀 생각합시다 69


 글결


  옛날에는 글꽃(문학)을 한문을 아는 이만 하기 일쑤였습니다. 옛날에도 누구나 입으로 말을 빚었고, 이 말로 이야기를 지었기에, 입에서 입으로 흐르던 노래는 언제나 신나는 살림꽃이었습니다만, 이 살림꽃을 글로 옮겨적은 이는 거의 없다시피 해요. 옛이야기는 두고두고 흐르며 살아남았으나, 여느 삶자리 사람들이 피워낸 살림꽃은 낱말로는 남되, 낱말을 엮은 짤막짤막한 노랫마디로는 남지 못했어요.


  한문으로 글꽃을 하던 분은 ‘운율·각운·율격’을 헤아리면서 이모저모 비슷하게 맞추는 글솜씨를 부렸습니다. 오늘날에는 어떠할까요? 오늘날에도 우리는 글솜씨나 글잔치를 즐겁게 펴면서 재미나게 노래하듯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가요?

  

 네가 베풀어 주는 숨길

 네가 띄워서 주는 눈길

 네가 내밀어 주는 손길


  우리말로도 얼마든지 결을 맞출 만합니다. 다릿결(각운)도 재미나게 맞출 만하지요. ‘네’하고 ‘주다’를 넣으며 글길이를 똑같이 할 만해요. 끝을 ‘-길’로 척척 붙여도 즐거워요.


 서로 힘을 주며 이루는 일

 서로 틈을 주며 즐기는 삶

 서로 꿈을 주며 짓는 노래


  토씨 ‘-을’을 똑같이 넣고, ‘주며’로 똑같이 받으면서 글길이를 맞추어도 재미있습니다. ‘힘·틈·꿈’은 받침을 ‘ㅁ’으로 맞추기도 했고, 뒤에서는 ‘-는’으로 똑같이 받아서 이어 봅니다. 아주 쉽게 풀어내는 말씨로 말결을 살립니다. 옛날 글꽃은 글쟁이끼리 노닥이는 얼개였다면, 오늘날 글꽃은 어린이하고 어깨동무하면서 놀이하는 잔치가 될 만해요. 석줄글(삼행시)로도 넉줄글(사행시)로도 말놀이랑 글마당을 펴면 됩니다. 우리 스스로 우리말을 꽃으로 피웁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