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3.26. 지움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갈무리쪽(메모리카드)에 담은 빛꽃(사진)을 셈틀로 옮기기 앞서 또 지웠습니다. 옮겼는지 안 옮겼는지 알쏭하기에 “그럼 지우고 보자!”고 여기면서 꾹 지우고서 “아차, 안 옮겼네?” 싶어 부랴부랴 갈무리쪽을 되살리려 하지만 하나도 되살아나지 않습니다. 저녁나절에 한참 끙끙대다가 두 손을 듭니다. 이레 동안 어떤 살림살이를 빛꽃으로 담았나 하고 돌아봅니다. 여러모로 속쓰리더라도 바로 이 손으로 단추를 섣불리 눌렀어요. 더듬더듬 되새기면서 이튿날부터 새로 찍자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이 뛰놀며 짓는 웃는 몸짓을 그만 지우고 말았으면 내내 아팠을 텐데, 그나마 우리 집 봄꽃하고 잎망울을 담은 빛꽃을 잔뜩 지웠으니, 다시  하나하나 다가서면서 찍으면 될 테지요. 똑같은 바보짓을 새삼스레 할 적에 곰곰이 생각합니다. 집안일을 잔뜩 해서 팔다리에 힘이 빠질 적에 곧잘 글판을 잘못 쳐서 글을 통째로 날릴 때가 있습니다. 졸음이 쏟아지지만 더 용을 쓰며 빛꽃을 갈무리하자고 여기다가 그만 오늘처럼 확 날릴 때가 있어요.


  힘들거나 고단하면 다 내려놓고 드러누울 노릇이에요. 가만히 누워서 파란하늘을 그리고, 온몸에 힘을 빼고 꿈나라로 가야지요. 온몸에 힘을 빼기에 새롭게 기운이 차올라요. 힘이 빠져 해롱거리는 몸을 억지로 움직이려 들면 언제나 비틀거리다가 넘어지거나 자빠집니다.


  재미있어요. 힘들기에 쉬면 기운이 새로 솟아요. 고단하기에 다 내려놓으면 어느새 눈을 번쩍 뜨면서 기지개를 켭니다. 풀꽃나무도 밤에 고이 쉬면서 새벽에 이슬을 머금고 깨어나기에 푸르듯, 사람도 밤에는 별빛을 가슴에 품으면서 새벽빛을 바라기에 아침을 반가이 맞이하지 싶습니다.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