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토리의 집 4 - 개정증보판
야마모토 오사무 지음, 김은진 옮김 / 한울림스페셜 / 2004년 12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만화책 2021.3.26.

만화책시렁 341


《도토리의 집 4》

 야마모토 오사무

 김은진 옮김

 한울림스페셜

 2004.11.29.



  앵두꽃을 톡 훑어서 먹으면 앵두꽃 냄새가 퍼집니다. 모과잎을 똑 따서 먹으면 모과잎 내음이 번집니다. 사람들은 흔히 냉이뿌리를 캐서 국을 끓이는데, 냉이꽃이나 냉이씨나 냉이잎이나 냉이줄기도 나물로 좋습니다. 찔레잎이며 민들레잎이며 더없이 반가운 나물이에요. 다 다른 풀잎은 다 다르게 젖어드는 푸른물입니다. 다 다른 꽃잎은 다 다르게 감겨드는 맑은빛이에요. 《도토리의 집 4》을 펴면 ‘별빛아이’를 바라보는 눈길이 거듭난 여러 어른들 이야기가 나옵니다. 아이들은 예나 이제나 똑같이 별빛을 품은 아이입니다만, 어른들은 아직 별어른까지 거듭나지 못한다지요. 생각해 봐요. 별빛아이를 별빛아이로 사랑하고 돌보며 함께 살아가려면 어떤 어른이 되어야 할까요? 별빛어른이어야 할 테지요. 푸른별에 걸맞게 살아갈 사람이라면 ‘도시인·문명인·문화인’이 아닌 ‘푸른사람’일 노릇입니다. 푸른넋이 되고 푸른눈으로 보며 푸른넋이기에 비로소 푸른꿈으로 푸른글을 쓰고 푸른삶을 가꿀 만합니다. 멀리서 찾지 마요. 곁에서 알아보면 좋겠습니다. 책으로 배우지 마요. 살림으로 품고 사랑으로 안으며 다같이 아름다이 사람으로 일어서면 좋겠어요. 우리는 푸른이웃이요 푸른벗이며 푸른빛입니다.


ㅅㄴㄹ


“열두 살이면 미아가 될 나이가 아니잖아요? 버스를 탈 줄 알면 혼자서 전화도 걸 줄 알 거예요.” “아뇨. 우리 애는 그런 거 할 줄 모릅니다. 내 딸은 장애아예요. 귀가 들리지 않고 말도 전혀 못해요. 전화도 걸 줄 모릅니다. 글도 읽을 줄 모르고 쓸 줄도 몰라요. 곤란한 일이 생겨도 말로 도움을 청할 수가 없습니다. 자기 이름조차 소리내어 말할 수가 없어요 … 다아, 다아, 라는 소리를 내며 울면서 돌아다니는 아이가 있으면 그게 제 딸이에요. 어딘가에서 다쳐서 웅크리고 앉아 우는 아이가 있다면, 그게 제 아이예요.” (80∼81쪽)


“그래요! 우리는 그걸 원하면 안 되나요? 저 아이는 행복해지면 안 되냐구요? 왜요? 들리지 않아서요? 지능이 떨어져서요? 장애라서요? 그러니까 포기할 수밖에 없다는 건가요?” (126쪽)


#山本おさむ #どんぐりの家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