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보이는 한자 - 삶을 본뜬 글자 이야기
장인용 지음, 오승민 그림 / 책과함께어린이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아쉬운책 2021.3.26.

맑은책시렁 241


《세상이 보이는 한자》

 장인용 글

 오승민 그림

 책과함께어린이

 2020.12.29.



  《세상이 보이는 한자》(장인용, 책과함께어린이, 2020)는 한자란 글씨를 지을 무렵 어떤 마음을 담았는가를 들려주면서, 오늘은 어느 곳에서 어떻게 쓰는가를 살며시 짚습니다. 글을 제법 알고 책을 퍽 읽은 어른이 보기에는 쉬운 한자를 살펴서 말결을 더 널리 익힐 만하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른이라도 한자는 영어하고 똑같이 바깥말이자 바깥글입니다. 어린이한테도 어른한테도 똑같이 어렵기 마련입니다. 말을 좋아해서 영어나 일본말이나 러시아말이나 독일말로 죽죽 뻗어 나가며 배운다면 한자도 아주 어렵지는 않아요. 그러나 수수한 자리에서 수수하게 살림을 짓고 살아가는 길에서 한자는 꽤나 높직한 담벼락입니다.


  ‘한자와 한자말을 아는 어른’이라면 ‘온누리가 보이는 한자’로 여길 만하지만, ‘한자를 잘 모르고 한자말인지 아닌지 가리지 않고서 수수하게 살림을 짓는 어른’이라면 ‘온누리를 막는 한자’로 느낄 만합니다. 어린이한테는 어떨까요?


  어린이한테 한자를 들려주거나 알려준다고 해서 나쁘다고는 여기지 않습니다만, 섣불리 온갖 한자말을 끼워서 가르치려고 들지는 말 노릇이라고 봅니다. 어린이한테는 한자에 앞서 우리말부터 제대로 들려주고 알려주고 가르쳐야지요. 우리말을 모르는 채 한자를 배우거나 왼들 부질없어요. ‘물’이라는 낱말이 어떻게 비롯했고 어떻게 쓰임새를 펴는가를 모르는 채 ‘수(水)’라는 한자만 가르친들 뭘 알까요? ‘흙’하고 ‘땅’하고 ‘터’ 같은 우리말이 어떻게 비롯했고 서로 어떻게 다른가를 제대로 모르는 채 ‘토(土)’라는 한자만 알려준들 뭘 배울까요?


  물이나 흙이 대수롭고 뜻있기에 ‘숲’하고 얽힌 한자가 무척 많다는데, 우리말도 매한가지예요. 우리말도 ‘숲’하고 얽힌 낱말이 대단히 많아요. 무엇보다도 ‘살림’을 짓고 ‘사랑’을 하면서 ‘살아’가는 길을 밝히는 우리말이 참으로 많습니다. 이런 우리말을 바탕으로 한자를 나란히 놓고, 또 영어도 함께 놓으면서, 오늘 우리 삶터에서 어른들이 얼마나 어리석게 말글살이를 하는가를 넌지시 나무라면서 어린이가 앞으로 새길을 새말로 열도록 북돋아야지 싶습니다.


  말은 외워서 못 써요. 말은 오로지 삶으로 녹여내어 즐겁게 놀면서 재미나게 익히고 새롭게 지어서 씁니다.


ㅅㄴㄹ


하늘이 우리 손에 잡히지 않는 것이라면 땅은 우리가 딛고 서 있는 손으로 만질 수도 있어. 거기서 식물들이 자라고 동물들도 발을 딛고 살아가기에 흙과 돌에 관련된 글자가 많은 건 당연한 거야. (24쪽)


물이 들어간 글자가 많은 것은 물이 너무나 중요한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어. (61쪽)


원래 ‘민(民)’은 백성이라는 뜻이 아니었어. 한자가 만들어지던 시기엔 전쟁에서 사로잡은 다른 나라 포로들을 도망가지 못하도록 눈을 찔러 멀게 하고 노예로 부렸다고 해. ‘민(民)’은 그 모습을 나타낸 글자였지. (108∼10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