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2021.1.7.
아이가 말에 눈을 뜨면 스스로 마음을 열면서, 이 마음에 스스로 짓고 싶은 꿈을 사랑으로 하나둘 녹여내어 날개를 달고 하늘을 날리라 생각합니다. 아이는 몸이랑 마음으로 어버이한테서 사랑을 물려받거나 배우는데, 먼저 젖을 물면서 숨을 살리는 사랑을 배우고, 이다음으로 어버이 입에서 터져나오는 노래 같은 말로 사랑을 배워요. 이동안 어버이 낯빛이나 몸짓에서 흘러나오는 상냥한 흐름으로 사랑을 익히지요. 아무 말이나 하는 어버이라면 ‘아무나’가 되고, 아름다이 생각을 가다듬어 알차게 말빛을 틔운다면 ‘아름어른’이 되겠지요.
.
.
오늘날 번역을 하는 적잖은 이들은 영어 ‘make’를 섣불리 ‘만들다’로 옮기고 말아요. 말썽이나 어떤 일을 일으킨다고 할 적에는 ‘일으키다’로 옮겨야 하는데, 그만 ‘만들다’로 옮깁니다. 어떤 일이 생길 적에는 ‘생기다’로 옮겨야 하지만, 그만 ‘만들다’로 옮겨요. “The news made him very happy” 같은 영어는 “그를 즐겁게 해 주었다” 꼴로 옮겨야 하지만 “그를 즐겁게 만들었다” 꼴로 잘못 옮깁니다. 이리하여, “생각을 하게 만든다”나 “재미있게 만든다” 같은 번역 말투가 퍼지고 맙니다. “생각을 하게 이끈다”나 “재미있게 한다”로 바로잡아야 합니다. 그러고 보면, 손수 삶을 짓는 일이 차츰 사라지거나 줄어들면서 ‘만들다’가 아무렇게나 퍼지는구나 싶습니다. 요즈음에는 “밥을 만들다”처럼 말하는 사람도 있으나 “밥을 짓는다”나 “밥을 끓인다”나 “밥을 한다”처럼 말해야 올바릅니다. (104쪽)
.
.
삶말길을 더 느끼고 싶다면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철수와영희, 2015)를 곁에 두어 보셔요.
.
ㅅㄴ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