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죽은 자들을 위해 창비시선 277
이시영 지음 / 창비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노래책시렁 168


《우리의 죽은 자들을 위해》

 이시영

 창비

 2007.6.15.



  1995년부터 2020년에 이르도록 제가 하는 일을 ‘일칸(직업 기입란)’에 적어 넣지 못합니다.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 말꽃지음이(사전집필자), 갈무리지기(유고 정리자), 책숲지기(도서관장), 살림꾼(가정주부) 같은 일을 적을 만한 일칸이란 없습니다. 가만 보면 일칸에 ‘흙살림꾼(농부)’ 자리도 없습니다. 일칸은 언제나 큰고장에서 돈을 버는 자리만 다룰 뿐입니다. 아이를 돌보며 집안을 살피는 ‘살림꾼’은 왜 일이 아니라고 여길까요? 새벽을 여는 나름이를 비롯해 짐을 옮기는 나름이도 이제는 어엿이 일칸에 넣을 수 있어야지 싶어요. 《우리의 죽은 자들을 위해》를 읽으니, 노래님하고 술을 마신 사람들하고 얽힌 글자락은 퍽 푼더분하되, 다른 글자락은 먼발치에서 뒷짐을 서며 바라본 이야기이지 싶습니다. 뒷짐을 선대서 나쁘지 않습니다. 모든 사람이 머리끈을 질끈 동이며 앞장서지는 않으며, 뒷자리에서도 얼마든지 노래를 부를 수 있어요. 뒤켠에도 삶이 있으며, 살림과 사랑으로 오늘을 녹여 노래로 빚을 만합니다. 그나저나 노래님은 일칸에 어떤 이름을 적어 넣었을까요? 시인? 창비? 교수? 이사장? 먼데보다 곁을 보면 좋겠습니다. ㅅㄴㄹ



중학교에 입학하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서였다. 달빛이 대숲에 하얗게 부서져내리는 밤, 웬 커다란 그림자 하나가 성큼성큼 걸어와 내 방 창문 앞에 쿵 하고 무언가를 부려놓았다. 아버지 등에 업혀 시오릿길을 꼬박 걸어온 옻칠이 반지르르한 앉은뱅이책상이었다. (책상 동무/18쪽)


금강산에 시인대회 하러 가는 날, 고성 북측 입국심사대의 귀때기가 새파란 젊은 군관 동무가 서정춘 형을 세워놓고 물었다. “시인 말고 직업이 뭐요?” “놀고 있습니다.” “여보시오. 놀고 있다니 말이 됩네까? 목수도 하고 노동도 하면서 시를 써야지…….” 키 작은 서정춘 형이 심사대 밑에서 바지를 몇번 추슬러올리다가 슬그머니 그만두는 것을 바다가 옆에서 지켜보았다. (시인이라는 직업/3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