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숲노래 우리말꽃 : ‘말’하고 ‘언어’는 다른가?
[물어봅니다]
숲노래 님은 ‘언어’라는 말은 안 쓰고 ‘말’이라는 말만 쓰시는구나 싶어요. 그런데 ‘언어’란 한자말을 써야 하는 자리도 있지 않을까요? 왜 ‘말’이라는 말만 쓰시는지 궁금해요.
[이야기합니다]
우리가 쓰는 모든 말은 마음을 짓는 생각이 됩니다. ‘말’하고 ‘마음’은 말밑이 같아요. 한자말이기 때문에 ‘언어’란 낱말을 안 쓰지 않습니다. 누구보다 저부터 스스로, 그리고 저를 둘러싼 이웃님 누구나, 여기에 우리 집 아이들하고 곁님이 늘 ‘말’이 모두 ‘마음’인 줄 알고 느끼고 생각하면서 곱게 즐겁게 새롭게 맞아들여서 하루를 짓는 씨앗이나 징검돌로 삼기를 바라면서 ‘언어’ 아닌 ‘말’이란 낱말을 가려서 쓸 뿐이에요.
어느 분은 ‘언어학자’나 ‘언어학’처럼 써야 알맞다고 여기고, ‘언어연구’처럼 말해야 한다고 여깁니다. 그분은 그렇게 배우고 그런 말을 쓰셨으니 그렇게 여기실 텐데, 저는 ‘말님·말지기’가 되고 ‘말길·말갈·말꽃’을 가다듬으면서 ‘말익히기·말살피기·말가꾸기’를 하면 넉넉하다고 생각해요. 그곳에서는 꼭 그 말만 써야 하지 않습니다. 스스로 생각하기에 따라서 늘 새롭게 말빛이 피어납니다. 스스로 생각하지 않는다면 그곳에 쓸 가장 어울리는 낱말을 찾아내지 못할 뿐 아니라, 우리 나름대로 그곳에 알맞게 새말을 짓지 못해요.
우리가 사랑으로 아이를 낳을 적에 어떻게 아이이름을 붙여야 가장 즐거우면서 아름답고 기쁠까요? 아이한테 이름을 지어서 붙여 주듯이, 우리 삶자리에서 흐르는 모든 낱말도 헤아리면 좋겠습니다. 그냥그냥 ‘말’하고 ‘언어’라는 두 낱말을 견주기보다는 “왜 두 낱말 사이에서 하나를 가려서 쓰는 마음일까?”를 생각하시기를 바라요.
우리 이야기는 푸념 아닌 꿈이랑 사랑이랑 노래로 나아가는 길목에서 한 톨씩 심는 씨앗이 되기를 바라요. 그렇기에 아무 낱말이나 쓰지 않는답니다. 글을 쓰든 말을 하든, 저는 모든 낱말을 하나하나 가려요. 낱낱이 돌아보지요. 말뜻을 되살피고 말결을 곱씹으며 말빛을 다시 짚어요. 그냥 써도 되는 말이란 없다고 느끼거든요.
“그냥 쓰는 말”이 되면, “그냥 사는 하루”가 되는구나 싶어요. 늘 이렇게 느낍니다. 우리 입에서 흐르는 모든 말은 “그냥 쓰는 낱말”이 아닌, 또 우리 손에서 피어나는 글은 “그냥 쓰는 낱말”이 아닌, “늘 스스로 사랑이 되고 꿈이 되고 꽃이 되고 노래가 되어 아름답게 우리 보금자리·마을·푸른별을 고루 비추는 빛줄기가 되는 씨앗”이 되기를 바라요.
다시 말하자면, 저는 “순수한 토박이말”을 안 좋아할 뿐 아니라, 구태여 “순수한 토박이말”을 캐내어 쓸 뜻조차 없습니다. “말은 늘 모두 마음”인 터라, “마음이 될 말”을 즐겁게 쓰고, 곱게 쓰고, 새롭게 쓰고, 넉넉히 쓰고, 햇살처럼 쓰고, 눈비바람처럼 쓰고, 사랑스레 쓰고, 살림하며 쓰고, 살아가며 쓰는 길에 서려고 합니다.
언뜻 보면 ‘언어’란 한자말이든 ‘말’이란 텃말이든 대수롭지 않을는지 몰라요. 그러나 ‘말’이라는 가장 수수한 낱말을 가려서 쓰면 어린이부터 할머니까지 모두 알아들어요. 어린이부터 할머니까지 누구한테나 어울리면서 쉽고 즐거우면서 새롭게 생각을 빛내는 밑바탕이 되는 낱말인 ‘말’이에요.
‘말’이란 낱말을 쓰기에 ‘말빛’이며 ‘말결’이며 ‘말길’이며 ‘말꽃’처럼 가지를 칩니다. ‘언어란 용어를 사용’하면 ‘언어감각’이며 ‘언어표현’이며 ‘언어구사’이며 ‘언어정보’로 흘러요. 두 갈래 말씨를 나란히 놓고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우리는 어느 말길로 나아갈 적에 생각을 북돋우면서 가꾸고 빛낼 만할까요? 우리는 어느 말길로 가다듬을 적에 스스로 새마음이 되고 새삶을 짓는 바탕을 닦을 만할까요?
그냥 써도 되는 말이란 없습니다. 모두 마음인걸요. 그냥 해도 되는 말이란 없습니다. 모든 말은 씨앗이거든요. “뿌린 대로 거둔다”는 옛말이며 “말이 씨가 된다”는 옛말을 늘 곰곰이 새롭게 돌아보면 좋겠어요. 우리 입에서 흐르고 우리 손으로 쓰고 우리 눈으로 읽는 모든 말글은 ‘우리 마음’을 이루고, 이 ‘우리 마음’은 ‘우리 오늘·우리 삶·우리 살림’으로 이어갑니다.
아무 말이나 안 쓰면 좋겠어요. 사랑스레 살림을 짓는 숲바람 같은 생각으로 하나하나 가누어서 쓰는 말이면 좋겠어요. 말꽃을 노래하고, 말숲을 나누고, 말꿈을 키우면 좋겠습니다. 우리는 모두 아름말을 쓰는 아름마음으로 아름사랑이 될 만하다고 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사전을 쓰고 “사전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숲노래 사전] https://book.naver.com/search/search.nhn?query=%EC%88%B2%EB%85%B8%EB%9E%98&frameFilterType=1&frameFilterValue=3595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