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그림씨앗 첫돌 (2020.10.29.)

― 익산 〈그림책방 씨앗〉



  2020년 10월 30일에 전주 마을책집 한 곳에서 이야기꽃을 폅니다. 전주로 가는 길에 익산 마을책집 〈그림책방 씨앗〉하고 〈두번째집〉을 꼭 들르자고 생각합니다. 익산에서 이야기꽃을 펴는 일이 있다면 느긋이 익산에서 묵으며 한결 오래 익산 마을책집을 누릴 테지만, 이튿날 펼 이야기를 헤아리면서 오늘은 가볍게 두 곳을 찾아가려 합니다. 먼저 공주 마을책집을 만나고서 익산에 가려 했으나, 그만 논산에서 길이 틀어졌어요.


  돌림앓이 탓에 시외버스가 매우 많이 끊어집니다. 하나같이 말도 없이 사라져요. 미리 알리지도 나중에 알려주지도 않습니다. 그 시외버스를 타려던 사람은 그 버스나루에 갔다가 쓴맛을 보고 돌아설 뿐입니다. 우리나라는 어떤 길을 가는가요?


  익산기차나루부터 걷습니다. 그 고장을 알려면 그 고장에서 해바라기나 별바라기를 하며 걸으면 됩니다. 한나절이나 두나절을 걸어도 좋아요. 하루나 이틀을 걸어도 좋지요. 서두르지 않으면 돼요. 빨리 걷지 않으면 되지요. 걷다가 쉬고, 걷다가 하늘 보고, 걷다가 노래부르거나 춤추고, 걷다가 이웃님한테 쪽글을 띄우고, 걷다가 서서 노래꽃(동시)도 쓰고, 걷다가 볕좋은 자리에 앉아 책도 읽고, 이렇게 하노라면 그 고장하고 부드러이 사귈 만해요.


  익산에 마을책집이 2019년에 움틀 때까지는 〈원서점〉을 만나려고 익산마실을 했어요. 그리고 익산에서 우리말꽃을 살뜰히 가꾸시며 《지는 꽃도 아름답다》를 쓴 문영이 님을 뵈러 이곳을 찾아오곤 했습니다. 문영이 할머님은 여든이란 나이에 이르러 비로소 우리말에 눈을 뜨고는 저더러 “최 선생이 이 할머니한테 우리말 스승이 되어 길을 잡아 주면 좋겠어요.” 하고 말씀하셨어요. 배우려는 마음은 0살이든 1살이든 80살이든 같아요. 배우려는 사람은 아름다워요. 배우려는 눈빛은 사랑스러워요. 배우려는 걸음걸이는 나비 날갯짓처럼 홀가분해요.


  그림책으로 빛나는 〈그림책방 씨앗〉은 2020년에 첫돌을 맞이합니다. 이 조그마한 그림씨앗은 다섯 해 열 해를 무르익어 그림나무로 자라겠지요? 그림나무는 스무 해 서른 해를 지나는 동안 그림숲으로 푸르겠지요? 그림씨앗이 열 돌 스무 돌 서른 돌 마흔 돌이 되는 동안 내내 사뿐사뿐 마실한다면 참으로 즐겁겠다고 생각합니다. 책집지기님이 내려주신 뜨끈한 커피 한 모금을 마시면서 무럭무럭 피어나는 그림책을 차근차근 읽습니다. 책집을 나서며 돌아보니, 그림책집에서는 갓 나온 그림책은 서서 읽기만 하고, 나온 지 좀 묵은 그림책만 장만했더군요. 아마 그 묵은 그림책은 두고두고 손길을 타면서 오래오래 손빛을 받으리라 생각합니다.


  골목이며 길거리에서 나부끼는 가랑잎을 몇 줍습니다. 가랑잎빛에 가을이 오롯이 흐릅니다. 이 가랑잎에 한줄글을 써 보고 싶습니다.


《감나무가 부르면》(안효림, 반달, 2017.10.31.)

《오늘》(줄리 모스태드/엄혜숙 옮김, 크레용하우스, 2017.6.28.)

《나무 하나에》(김장성 글·김선남 그림, 사계절, 2007.5.7.)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우리말사전)을 쓰고 “사전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책숲마실 파는곳]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6831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