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게게의 기타로 4
Mizuki Shigeru 지음, 김문광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숲노래 푸른책/숲노래 만화책
너는 어떤 사람이니
《게게게의 기타로 4》
미즈키 시게루
김문광 옮김
AK 커뮤니케이션즈
2010.2.18.
놀이를 하는 아이는 풀꽃을 함부로 안 꺾습니다. 함께 노는 아이들은 나뭇가지를 함부로 다루지 않습니다. 풀꽃을 함부로 꺾는다든지, 발밑에 있는 풀꽃을 아무렇지 않게 밟고서 알아차리지 않는 어른이라면, 마음자리에 놀이가 없을 뿐 아니라, 동무랑 사이좋게 어우러지는 즐거우면서 상냥한 길을 모른다는 뜻이로구나 싶어요. 풀꽃을 마구 밟는 사람이면서 착한 마음이 될까요? 땔감으로 쓰거나 살림으로 건사할 뜻이 아닌 채 나뭇가지를 그냥 꺾거나 나무를 괴롭히는 사람이라면 참된 몸짓이라 할 만할까요?
자가용을 모는 일이 나쁘다고 여기지 않으나, 아무 때나 깊이 생각하지 않고서 자가용을 타고내리기만 한다면 좀 달리 보아야지 싶습니다. 타야 할 적에는 타야겠지만, 여느 때에는 늘 걷고, 해를 머금고, 바람을 마시고, 풀벌레랑 이야기하고, 새하고 손짓을 할 줄 알아야 비로소 어른이지 싶습니다.
저는 자전거를 즐기지만 언제나 자전거만 타지 않아요. 웬만하면 걷습니다. 걸으면서 바람결을 느끼려 하고, 햇살이 퍼지는 흐름을 읽으려 해요. 자전거를 달릴 적에는 조금 더 빠르게 바깥일을 보려는 뜻입니다만, 자전거를 달리면서 땅바닥이며 옆마을 들판이며 하늘빛이며 멧자락이며 구름결을 더 곰곰이 마주하곤 합니다.
갓이 팔리지 않아 설떡을 살 돈을 마련하지 못했다. 그러다 날이 저물고, 눈이 내리기 시작했기 때문에, 할아버지는 어쩔 수 없이 집으로 발길을 돌렸다. 가다가 넓은 들판에 접어들었을 무렵에는 혹독한 눈보라가 몰아치기 시작했다. 들판에는 지장보살이 서 있었다. “어이쿠, 이 눈보라를 그냥 맞고 계시니 얼마나 추우실꼬. 도롱이는 고사하고 삿갓 하나 없으시니.” 할아버지는 팔지 못한 갓을 지장보살에 하나씩 씌워 주었다. (8∼9쪽)
잘 걷지 않는 사람하고는 어쩐지 나눌 만한 말이 얼마 없다고 느낍니다. 아니, 제가 늘 걷는 사람이라서, 저한테는 안 걸어다니는 사람이 사귈 만하지 않아요. 으레 자가용을 모는 분이라면 이분은 이분처럼 자가용을 모는 다른 사람이 이웃으로 지낼 만하며 서로 나눌 말이 있겠지요.
저는 어른이란 몸으로 살림을 합니다만, 어린이하고 푸름이를 마주하는 자리에서도 매한가지예요. 즐겁게 걷거나 자전거를 달리는 어린이나 푸름이라면 서로 나눌 말이 많습니다. 풀꽃하고 노래하고 풀벌레하고 사귀고 푸나무를 어루만질 줄 알 뿐 아니라, 바람이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멧새가 노래하는 뜻을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어린이랑 푸름이하고는 하룻내 수다를 떨 만합니다.
대학입시만 바라보는 푸름이하고는 딱히 할 말이 없습니다. 손전화에 눈이 빠진 어린이하고도 따로 할 말이 없습니다. 맨손으로 냇물을 쓰다듬고 맨발로 풀밭에서 춤추며 놀지 않는 어린이나 푸름이라면 어쩐지 가까이하고 싶지 않습니다.
“떡은 어떻게 됐수?” “그만 갓을 하나도 못 팔았구먼. 그래서 어귀의 지장님께 다 씌워 드리고 왔네.” “그랬수? 갓이야 갖고 들어온다고 떡이 될 것도 아니고, 잘하셨수. 설은 무짠지랑 죽으로 보냅시다.” (10쪽)
‘기타로랑 얘기 좀 해봐야겠다. 마침 누리카베네 집에 놀러와 있으니까. 원래 요괴들은 옛날부터 이렇게 가엾은 사람들을 돕곤 했다구.’ (11쪽)
풀벌레가 좋아해 마지않는 도깨비 ‘기타로’가 있다고 해요. 일본에서는 한자말로는 ‘요괴’란 이름을 씁니다만, 한국말로는 도깨비나 깨비라고만 하면 됩니다. ‘깨돌이’라고 해도 어울릴 기타로일 텐데, 깨비 사이에서도 기타로를 좋아하는 이웃이 한쪽에 있고, 깨비 둘레에서도 기타로를 멀리하는 이웃이 다른쪽에 있어요. 이런 이야기가 《게게게의 기타로》(미즈키 시게루/김문광 옮김, AK 커뮤니케이션즈, 2010) 일곱 자락에 흐릅니다.
“기타로라면 할 수 있을 거예요.” “기타로?” “기타로라고 왜 애들이 자주 얘기하잖아요.” “모르겠는데.” “아무튼 내가 편지를 써서 한번 부탁해 볼게요.” “나 참, 기타론지 뭔지 애들 말을 어떻게 믿는다고 그래.” (38쪽)
깨돌이 기타로를 좋아하거나 반기는 다른 깨비는 상냥하면서 즐겁게 숱한 깨비뿐 아니라 사람이며 뭇목숨이며 푸나무하고 어우러지고 싶은 숨결입니다. 깨돌이 기타리를 싫어하거나 꺼리는 다른 깨비는 짓궂으면서 사납게 혼자 나대거나 돈바라기·힘바라기·이름바라기에 사로잡힌 숨결입니다. 같은 깨비가 아닙니다. 모두 다른 깨비입니다. 깨비나라 우두머리가 되고픈 깨비가 있고, 사람누리도 깨비 힘으로 거머쥐어서 이 별을 통째로 사로잡아 으뜸지기가 되겠노라는 깨비가 있습니다.
착하게 살아가지만 ‘안 착한 사람들 등쌀’에 시달리는 사람을 가여이 여기면서 조용히 돕는 깨비가 있어요. ‘안 착한 사람들’하고 손을 잡고서 착한 사람을 들볶으면서 우쭐거리는 깨비도 있다지요.
깨돌이 기타로는 이 틈새에서 춤을 춥니다. 고약한 깨비를 나무랍니다. 상냥한 깨비하고 동무를 합니다. 괘씸짓을 일삼는 깨비를 따끔하게 지청구해요. 고운 마음결로 눈부신 깨비를 만나면 저절로 웃음이 터지면서 같이 노래합니다.
“거울은 2천 년 이상 묵으면 저절로 물질이 변해 거울 속에서 운외경이라는 요괴가 나타난다고 했다. 하지만 말로만 들었지 직접 보는 건 처음이구나.” (132쪽)
“하지만 한국말도 모르고…….” “기타로! 무슨 소릴 하는 거냐. 요괴에 국경이 어디 있어! 당장 가 보거라. 요괴한테 고통 받고 있는 인간을 돕는 게 우리 사명이야.” (141쪽)
우리는 어떤 사람인가요? 우리는 어떤 어린 나날을 보내면서 어떤 푸른 철을 가로질로서 어떤 어른 자리에 서는 사람인가요?
너는 누구인가요? 나는 누구인가요? 우리는 누구인가요? 만화책 《게게게의 기타로》는 꾸준히 묻습니다. 깨비나라 숨결과 사람나라 숨결이 어떻게 어울릴 적에 서로 즐거울 만한가 하고 묻습니다. 사람나라에서 사람들은 어떤 얼개를 짜면서 보금자리나 마을을 가꾸려는 길인가 하고 묻습니다. 사람나라 어른들은 아이들한테 어떤 살림을 보여주면서 스스로 철든 숨결로 땀흘리고 노래하느냐고 물어요.
‘인간들 손이 안 닿은 이런 원시림 속의 민달팽이가 제일 맛있어.’ (201쪽)
“저, 저건! 23년 전에 전쟁터에서 돌아가신 저희 아버지예요! 아버지는 남풍을 타고 섬을 넘고 넘어 23년이나 걸려 고국으로 돌아오신 거네요. 그리고 고아가 된 절 내내 지켜주고 계셨던 거예요.” 그 순간 요화의 꽃잎이 일제히 떨어지며 온 산을 붉게 물들였다. 넷은 정성스럽게 하나코의 아버지를 묻어주고 그 섬을 떠났다. (229쪽)
오디졸임은 딸기졸임하고 맛이 다르고, 무화과졸임이나 살구졸임이나 포도졸임이나 능금졸임하고도 맛이 달라요. 졸이는 달콤수수는 매한가지일 테지만, 바탕이 될 열매는 저마다 달라 모든 졸임은 맛이 다르고, 결이며 빛깔이며 숨이 다릅니다.
나무에 달린 열매를 그자리에서 톡 따서 누리는 맛이랑, 열매를 찬찬히 재워서 두고두고 누리는 맛은 저마다 달라요. 어느 쪽이 낫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다르게 맞이하는 맛이나 깊이도 너비도 서로 다르면서 즐겁습니다.
솜씨좋은 어른이 척척 반죽을 해서 굽는 빵도 맛나겠지만, 아직 서툰 아이가 조물조물 반죽을 해서 굽는 빵도 맛있습니다. 어느 쪽이 더 맛나다고 할 수 없지만, 한 가지는 달라요. 솜씨가 좋기에 척척 구워내면 한결 매끈할 테고, 아직 서툴기에 느릿느릿 구워내면 한결 오래 손빛을 담으며 투박합니다. 매끈맛도 투박맛도 몸이랑 마음을 함께 살찌우는 즐거운 기운이에요.
어버이는 아이한테 손길을 물려줍니다. 어버이한테서 손길을 물려받는 아이는 제 마음을 새로 얹어서 한결 다르면서 알뜰한 손길을 일굽니다. 아이가 새로 일구는 알뜰한 손길을 바라보는 어버이는 그동안 물려준 손길을 새삼스레 가다듬거나 추스를 길을 엿봅니다. 아이가 스스로 살림을 짓는 손길이 되기까지는 어버이가 내도록 물려주기만 했다면, 어느새 아이 손빛이 어버이를 신나게 다른 길로 나아가도록 북돋우는 손놀림으로 피어납니다.
삶이란 새롭게 짓는 손길을 모은 자리이지 싶습니다. 가로채거나 빼앗거나 거머쥐어서는 도무지 알 길이 없지만, 함께 가꾸거나 같이 짓거나 나란히 누리는 동안 차근차근 알아내면서 새롭게 살찌우는 길을 스스로 찾아내는 자리이지 싶어요.
“그럼 전에 나로 둔갑해서 인어를 팔러 다녔던 게 네놈이었단 말이지.” “그래! 그러면 순진한 넌 반드시 여길 찾아올 줄 알았다. 자, 그럼 슬슬 먹어 보실까.” “먹어?” “네놈 고기를 먹고 더 강한 신통력을 갖고 싶거든.” (237쪽)
마당에 나무를 한 그루씩 늘리면 좋겠습니다. 아이가 태어나서 자라는 동안 마을숲에 나무를 한 그루 두 그루 아이 손으로 심도록 이끌면 좋겠습니다. 자가용을 댈 자리를 늘리느라 숲을 밀지 말아요. 자가용을 줄이고, 찻길을 줄이면서 다시 숲을 늘리기로 해요. 공장도 발전소도 군대도 이제부터 차근차근 줄여서 숲으로 자라나도록 하면 좋겠어요. 마을하고 마을 사이를, 고을하고 고을 사이를, 자가용이나 버스나 기차로만 이으려 하지 말고, 두 다리나 자전거로 천천히 오가는 숲길을 늘리면 좋겠어요.
왜 찻길에 지붕을 안 씌울까요? 찻길마다 햇볕을 맞아들여 전기를 얻도록 지붕을 씌우면 좋을 텐데요. 왜 자동차에 지붕을 안 씌울까요? 자동차마다 햇볕을 받아들여 전기를 얻도록 하면 될 텐데요.
나무를 심고 돌보고 어루만지고 타고놀면서 자라는 아이는 착하면서 참답고 슬기로운데다가 사랑스러운 어른으로 우뚝 선다고 느낍니다. 나무하고 동떨어진 채 자동차에 몸을 싣고 손전화를 들여다보다가 이런저런 시험문제를 풀어 대학교에 들어가는 아이라면 착한 길도 참한 길도 슬기로운 길도 사랑스런 길도 모두 등지고 만다고 느낍니다.
풀벌레깨비인 기타로가 묻습니다. “넌 어떤 사람이니?” 나무깨비인 기타로가 묻네요. “사람은 어떤 숨결이니?” 숲깨비인 기타로가 다시 물어요. “푸른별에서 살아가려면 어떤 마음으로 사랑을 나누면 즐겁겠니?” ㅅㄴㄹ
#水木しげる #MizukiShigeru #ゲゲゲの鬼太郞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한국말사전을 쓰고 “사전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