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의 영혼 - 경이로운 의식의 세계로 떠나는 희한한 탐험
사이 몽고메리 지음, 최로미 옮김 / 글항아리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인문책시렁 122


《문어의 영혼》

 사이 몽고메리

 최로미 옮김

 글항아리

 2017.6.16.



“뇌 없는 동물이 무언가를 ‘원할’ 수 있을까? 더구나 자신의 욕구를 다른 종에게 전달한다는 것이 가능할까?” (42쪽)


“한낱 문어가 이처럼 영리하다면, 저 너머에 이처럼 영리할 수 있는 동물이 얼마나 많을까요? 우리가 의식과 개성과 기억 따위는 없다고 생각하는 동물들 말이에요.” (79쪽)


“될 대로 되라지. 문어가 지루해하잖아! 그러니 우리 문어랑 놀아 보자고.” (107쪽)


“문어의 생각을 읽는 어려움은 표현이 너무 풍부하다는 데 있어요.” 난 아쿠아리움으로 돌아가며 말했다. 내가 알던 어떤 종보다도 표현이 더 풍부했다. “우리에게는 시와 춤과 음악과 문학이 있죠. 하지만 우리에게 갖가지 음성과 의상과 화필과 점토와 기술이 있더라도, 문어가 자기 피부만으로 말할 수 있는 표현에 따라갈 수나 있을까요?” (112쪽)


“대개 물고기들은 당신을 관찰하며 알아봅니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쳐다보지는 않죠. 문어들은 마치 쳐다보면서 학습하는 듯했어요.” (301쪽)



  문어를 알고 싶으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문어를 다룬 책을 찾아볼까요? 문어를 다루는 이야기를 들려주거나 가르치는 대학교에 가면 될까요? 문어를 사고파는 가게나 저잣거리를 찾아가면 될까요?


  아니면 스스로 바다에 뛰어들어 문어를 만나면 될까요? 바다에 뛰어들지 않더라도 우리가 살아가는 곳에서 가만히 눈을 감고 마음을 틔워서 문어를 마음소리로 부르고는 마음말을 주고받으면 될까요?


  물살이터에 잡아 놓고 기르면서 사람들한테 구경을 시키는 문어를 만난 이야기를 다룬 《문어의 영혼》(사이 몽고메리/최로미 옮김, 글항아리, 2017)을 읽다가 꽤 지쳤습니다. 첫머리에서는 ‘문어라고 하는 숨결’은 ‘사람 눈이나 생각으로 섣불리 보면 안 된다’고 하는 대목을 짚는가 싶더니, 자꾸자꾸 곁다리로 빠지고 말더군요.


  무엇보다도 곁에서 늘 마주하는 문어가 아닌, 물살이터에 갇힌 문어를 마주하는데, 돌봄이가 들려주는 말에 기대어 생각할 뿐, 글쓴이 스스로 문어한테 마음으로 말을 거는 대목이 너무 적습니다. 아니, 없다시피 합니다.


  아직도 ‘과학(생물학)’이라고 하면, 마음으로 마음을 읽어서 길을 살피고 찾아내는 이야기를 다루지 못하는 셈일까요. 또는 이 책을 쓴 분이 미처 못 짚거나 못 다룰 뿐일까요.


  인문책 《문어의 영혼》은 ‘구경한 문어’ 이야기를 ‘물살이터 돌봄이 목소리’를 따와서 엮기만 했다면 차라리 나았겠다고 생각합니다. 문어하고 동떨어진 얘기를 자꾸 끼워넣느라 막상 ‘문어가 어떤 숨결이며 넋이고 마음이자 빛인가’ 하는 대목은 뒷전이 되더군요. 문어가 온몸으로 사람을 지켜보고 마주하며 생각을 읽고 마음을 느끼듯, 우리도 문어를 온마음으로 어깨동무하면서 이 별을 처음부터 다시 돌아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