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책숲말 2020.1.11.
일본만화를 보노라면 곧잘 ‘귀가부’라는 말이 나옵니다. 무슨 소리인가 했더니, 일본에서는 학교마다 거의 다 동아리에 들어야 한다더군요. 동아리에 들지 않고 집일을 거든다거나 혼자 조용히 지내려 하는 이들은 ‘귀가부’라 합니다. 한마디로 하자면 ‘집순이·집돌이’인 셈이요, ‘집사랑’이라 해도 되어요. 집에 들어박혀서 나오지 않을 적에 일본에서는 ‘히키코모리’라 하는데 ‘집순이·집돌이’로 담아낼 만하고, ‘집콕’처럼 새말을 지어도 됩니다. 또는 ‘집사랑’이라 말할 수 있어요. 나무로 깎아서 쓰는 베게라면 어떤 이름일까요? 한자말로는 ‘목침’일 텐데, 한국말로 하자면 ‘나무베개’입니다. “이골이 난다”는 말이 있어요. 하도 자주 해서 지겹거나 싫거나 진저리가 날 적에 쓰는 재미난 말입니다. 일하는 사람은 어떤 이름으로 가리키면 좋을까요? 일하기에 ‘일꾼’이요, 같이 일하니 ‘일벗’이에요. 둘레에서는 ‘노동자·근로자·근무자’에 ‘종업원·웨이터·웨이트리스’까지 어지러운데, ‘일꾼’ 한마디여도 좋지 싶어요. 때로는 ‘심부름꾼’이나 ‘도움이’가 될 테고요. 한 해가 저물 즈음은 ‘해밑’이면서 ‘설밑’입니다. ㅅㄴㄹ
집순이·집돌이·집사랑 ← 귀가부(歸家部), 은둔, 히키코모리
집콕 ← 은둔, 히키코모리, 귀가부
나무베개 ← 목침
이골·이골이 나다 ← 진력, 관성, 질색, 염증, 습관, 중독, 세뇌
일꾼 ← 노동자, 근로자, 근무자, 종업원, 급사, 웨이터, 웨이트리스
심부름꾼·도움이 ← 종업원, 급사, 웨이터, 웨이트리스
해밑·설밑 ← 송년, 세모(歲暮), 세밑(歲-), 연말, 연말연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