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이야기

숲에서 짓는 글살림

37. 서울 다녀오는 길



  서울을 다녀오는 일이 있을 적에 언제나 “서울에 간다”고만 말합니다만, 둘레에서는 ‘상경’이나 “서울에 올라오다”라는 말로 받습니다. 이 말씨 ‘상경·서울에 올라오다’가 알맞지 않다고 넌지시 알려주어도 좀처럼 못 바꾸는 분이 아주 많습니다. 하기는, 전남 고흥에 살면서 고흥읍에 일이 있어 갈 적에도 비슷해요. 고흥군청이나 고흥교육청에서 일하는 분들 입에서 으레 “읍내에 올라오시지요?” 같은 말이 툭툭 나옵니다.


  이 위아래로 가르는 말씨를 언제쯤 말끔히 씻을까요? 촛불 한 자루 드는 물결로는 못 씻으려나요? 나이로 위아래를 가를 뿐 아니라, 자리로 위아래를 가르는 버릇으로는 어떤 어깨동무도 못 한다고 느껴요. 그나저나 서울에 걸음을 하고 보면, 곳곳에 선 알림판 글월이 어지럽습니다. 다만 저한테만 어지러운지 이런 알림글은 서른 해가 가고 쉰해가 흐르고 일흔 해가 지나도록 바뀔 낌새가 안 보입니다.


열차가 방금 출발하였으니 다음 열차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열차가 막 떠났으니 다음 열차를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 열차가 바로 떠났으니 다음 열차를 타 주시기 바랍니다


  열차는 타거나 내립니다. “다음 열차를 이용해”가 아닌 “다음 열차를 타”라 해야 맞아요. 또는 “다음 열차를 기다려”라 하면 되겠지요. ‘방금·금방’은 앞뒤만 바꾼 한자말인데, ‘막’이나 ‘곧’이나 ‘이제’나 ‘바로’로 손볼 만합니다.


무리한 승하차 금지

→ 억지로 타지 마셔요

→ 밀면서 타지 말아요


  아직 내리지 않았으나 벌써 치고 들어오는 분이 있습니다. 서울이야 워낙 사람으로 물결을 치니 1초조차 아쉬워서 마구 밀어붙이는구나 싶어요. 이때에 “무리한 승하차 금지”란 말을 누가 얼마나 알아들을까요?


  이 알림글을 읽다가 생각했어요. 어쩌면 사람들이 이 말씨를 못 알아보기에 억지로 밀면서 타지는 않을까요? 사람들이 알아보지 못하도록 알림글을 붙이니, 정작 사람들 버릇이 안 바뀌지는 않을까요? ‘억지로’ 타려 하지 말자고, ‘밀면서’ 타려 하지 말자고, 무엇보다도 “하지 말자(← 금지)”고 제대로 밝히지 않으니, 다들 그냥그냥 억지짓을 할는지 몰라요.


무리한 승하차는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밀면서 타고내리면 다칠 수 있습니다

→ 억지로 타고내리면 다칠 수 있습니다


  버스나 전철에서 사람들이 어찌나 밀고 당기는지 알림글이 곳곳에 붙습니다. 말씨가 살짝 다른 알림글인데,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는 무슨 뜻일까요? 이런 알림글을 못 알아볼 어른이 많지 싶은데, 어린이라면 더더구나 못 알아보겠구나 싶습니다.


  모름지기 사람들이 많이 모이거나 오가는 곳에서는 알림글을 ‘다섯 살 어린이도 알아볼’ 수 있도록 가다듬어야지 싶어요. 여덟 살 어린이가 알아보지 못한다면, 한글을 읽었어도 뜻을 어림하기 어렵다면, 잘못 붙인 알림글이라고 느낍니다.


  요즈음은 나라밖에서 찾아온 일꾼이 많아요. 한국말이 아직 서툰 여러 나라 이웃님도 ‘일본 한자말로 범벅질인 알림글’은 알아보기 어려워 하겠지요.


보행환경 개선사업

→ 거님길 손질

→ 거님돌 새로놓기


  걸어다니는 길바닥에 깔았던 돌을 뜯어내어 새로 까는 일을 지켜보다가 옆으로 한참 돌아서 갔습니다. 마침 이 삽질을 알리는 판이 한쪽에 섰더군요. 알림판에 적힌 글을 읽다가 피식 웃었습니다. “보행환경 개선사업”이란 이름으로 그럴듯하게 붙인 이 삽질이란 무엇일까요?


  짐짓 부풀린 듯한 이런 말씨는 이제 걷어낼 때이지 싶어요. 말에 낀 거품을 걷어내고, 갖은 삽질에 흐르는 찌꺼기도 털어낼 때라고 느낍니다. “거님길을 손봅니다”라든지 “거님돌을 새로 놓습니다”처럼, 어떤 삽질을 하는가를 꾸밈없이 밝히면 되어요.


잠시 후 도착합니다

→ 곧 옵니다

→ 곧 들어옵니다


  때때로 아이들하고 서울마실을 하노라면, 아이들이 매우 힘들어 합니다. 너무 많은 사람들로 북적대기에 힘들어 할 적도 있지만, 서울 곳곳에 나붙은 알림글이 너무 어렵거나 아리송해서 힘들어 해요.


  아마 어른한테는 “잠시 후 도착”이 익숙할 수 있어요. 워낙 이곳저곳에서 이런 말씨를 자주 쓰니까 그러려니 하고 지나칠 수 있습니다.


  알맞거나 바르지 않은 정치나 행정을 알맞거나 바르게 가다듬어야 아름답다면, 알맞거나 바르지 않은 말씨도 알맞거나 바르게 가다듬을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즈막에 “일본 것 안 사기!” 바람이 부는데요, 이런 일본 것 안 사는 물결은 왜 일본 한자말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나 “NO JAPAN”처럼 영어로만 말해야 할까요? “일본 것 안 살래”나 “일본 싫어”나 “일본은 저리 가!”처럼 한국말로 먼저 제대로 밝히고서 영어를 곁들이면 좋겠어요. 


전동차 내 자전거 휴대승차 안내문

→ 전동차에서 자전거를 들고 타려면

→ 전동차에 자전거 들고 타신 분한테


  알림글은 알리는 글입니다. 사람들이 바로 알아보도록 이끌 글입니다. 사람들이 쉽게 알아보면서 그때그때 맞추어서 움직이도록 도울 글입니다. 일제강점기에 스며들어서 여태 또아리를 튼 숱한 일본 말씨를 이제부터 제대로 뿌리뽑을 수 있으면, 또는 새롭게 손질하거나 추슬러서 한국말로 곱고 알뜰히 보듬으면 좋겠습니다.


어르신 시내버스 승하차 도우미 운영

→ 어르신 시내버스 도움이 있습니다

→ 어르신이 버스 탈 적에 도와줍니다


  어르신이 버스를 잘 타고내리도록 도우려 한다면, 어르신 눈높이에 맞게 일해야겠지요. 도움이 노릇을 하는 분도 어르신 눈높이에 맞출 노릇이면서, 이러한 일을 알리는 말도 어르신한테 맞추어야지 싶습니다.


  어느 분은 ‘승하차’쯤 어르신 나이에 다 알지 않겠느냐고 물을는지 모릅니다. 그렇다면 어르신을 모두 붙잡고 물어보면 좋겠어요. 참말 다들 알까요? 그리고 이런 말을 구태여 아직까지도 써야 할까요?


  서울을 다녀오면 범벅말이 가득해 눈이 어지럽습니다. 숲으로 둘러싼 보금자리에 돌아와서 나무 곁에 섭니다. 나무를 쓰다듬고 맨발로 풀밭에 서서 눈 마음 몸을 달랩니다. 나무하고 나눌 말을, 숲에서 짓는 말을, 바람을 아끼는 말을 그립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사전을 쓰는 사람.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을 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