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에 실린 내 기사
지난 수요일인 2007년 5월 23일, 내가 새로 낸 1인잡지 《우리말과 헌책방》를 이야기하는 글이 〈조선일보〉에 실렸다. 오늘 토요일, 〈국민일보〉에 글이 하나 더 실렸다. 인천에서 〈국민일보〉를 사기가 너무 어려워, 아침에 자전거를 타고 한 시간 넘게 이곳저곳 다녀 보아도 파는 데가 없어서, 서울에 있는 〈오마이뉴스〉 기자인 ㄱ 아저씨(내가 서울에 가면 잠자리를 내어 주는 선배)한테 전화로 여쭈려 한다. ㄱ 아저씨는 내 전화를 받자 첫 마디로 대뜸, “아, 조선일보에 인터뷰를 했더라고요?” “네? 인터뷰요? 하도 귀찮게 전화를 해서 아무렇게나 얘기해 주었는데요?” “그게 뭐예요. 입으로 하는 말하고 행동하고 다르고.” “어, 그거 내가 인터뷰 한 것도 아니고, 갑자기 전화를 해서 물어보니까 얼결에 전화로 말해 준 것뿐인데. 하긴 뭐, 그것도 인터뷰라면 인터뷰일 수밖에 없으니.” 저녁나절, 조금씩 차오르는 달을 올려다보며 생각한다. 〈조선일보〉 기자는 나를 취재하지 않았다. 나를 만나보지 않았고(그러니 내 얼굴도 모른다), 내가 책을 낸 출판사로 전화해서 내 연락처를 알아낸 뒤, 그이한테 도움이 되는 몇 가지만 꼬치꼬치 캐물으며 알아냈다고 할까. 그리고 그 정보로 글을 썼다. 이 자리이니까 말하지만, 전화로 이야기한 것도 아니고, 전화기를 붙들고 싸웠다고 해야 옳다. 참말이지, 나는 그 기자 분하고 신나게 싸움질을 했다. 그런데 그 기자가 쓴 글을 보니, 내가 ‘성을 냈다’고 적어 놓았더만. 그런데 여태 나를 만나본 다른 신문사 기자들이 쓴 글보다, 그저 몇 가지만 나한테 전화로 물어본, 아니 물어봤다기보다 한판 싸움질을 했던 기자가 쓴 글이 훨씬 잘 썼네. 깜짝 놀란다. 그러고 보니 그 기자가 얼핏 하는 말 가운데 이런 이야기가 있었다. “1998년에 한글학회 공로상 받으셨네요? 그때 사진을 보니 너무 젊어서 신문에 쓰기 어렵겠네요.”〈조선일보〉에 실린 내 사진은 내 것이 아닌, 자전거잡지 〈더 바이크〉 것이다. 그곳 사진을 얻어서 썼다. 그러니까, 나는 이 신문사에 ‘사진 제공’을 하지 않았다. 〈조선일보〉 기자는 ‘요즘 내 모습이 담긴 사진이 실린 매체’를 그이 스스로 알아내서 사진을 얻었다! 엄청난 취재력이자 활동력 아닌가! 그건 그거고, 1998년에 찍힌 내 사진이라 해도 〈조선일보〉 사진기자가 찍은 사진이 아니다. 그때 1998년에도 〈조선일보〉는 나를 취재하려고 그렇게 애쓰셨지만 나는 요리조리 몸을 빼고 전화를 안 받으면서 취재거부를 했는데, 그때에도 〈조선일보〉 기자는 마치 나를 만나서 차분히 이야기를 듣고 사진도 찍은듯이 글을 척 실었다! 얼마나 대단한가! 1998년 〈조선일보〉에 실린 내 사진도 다른 매체에서 얻었을 테지. 아마 〈한겨레〉 기자가 찍은 사진을 얻었다고 느낀다. 왜냐하면 그때에 나는 신문배달 일꾼으로 일했고, 내 사진을 찍은 사람은 〈한겨레〉 기자만 있었으니까. 그런데 그 사진자료를 아직도 건사한다니! 다른 신문사에는 그 신문사 자료가 얼마나 있을까? 아니, 다른 신문사 기자는 글을 실으며 사진 자료를 찾을 때 저희 ‘곳간(데이타베이스)’를 뒤져 보기는 하는가? 속으로 조금 소름이 돋았지만, 이런 모습이야말로 ‘기자얼’이라고 느낀다. 한켠으로는, ‘취재도 안 한 주제에 글만 훌륭하게(?) 썼으니, 소설가다운 솜씨가 많이 엿보여서, 기자보다는 소설가로 일하는 쪽이 낫다고 느낄 만한 〈조선일보〉 기자’이지만, 글을 잘 쓴다는 모습은, 그만큼 기자로서 바탕이 되었다는 소리이다. 높이 살 대목은 높이 사고 배워야 한다. 그래야 진보와 혁명이 살아난다. 진보정당이든 진보매체이든, 수구꼴통이라고 하는 매체 사람들이 하는 만큼 애쓰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을 뿐 아니라, 사람들 마음을 움직이거나 울릴 수 없다. 기자들 글솜씨 하나만 놓고 볼 때, ‘조선일보 기자 발가락만큼이라도 따라가려고’ 애쓰는 진보매체 일꾼이 얼마나 있는가? 현장 취재를 ‘조선일보 기자 신발 밑창이 떨어지는 만큼 따라가려고’ 다리품 파는 사람이 얼마나 있는가? 내가 여태까지 겪어 보기로는 늘 ‘글쎄요’이다. 내가 잘 몰라서 그럴 수 있다. 이는 받아들이겠다. 다만 한 가지, 헌책집 이야기를 취재하고 글로 다루는 기자들 모습과 몸짓과 글을 보면, 이 나라 일간지와 주간지와 월간지를 통틀어 ‘조선일보 기자 1/10만큼이라도 되는 기자’를 찾아보기 어렵다고 느낀다. 그러면서 진보매체이든 진보가 아닌 매체이든 ‘조선일보 삿대질’은 신나게 해댄다. 저희는 그만큼 애쓰지 않으면서. 그래, 〈조선일보〉가 잘못하는 짓, 이 가운데 가장 크게 잘못하는 정치와 사회와 교육 글(다른 글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느낀다. 이 나라에 〈조선일보〉라는 신문이 있다는 대목이 큰 아픔이자 슬픔이라고 본다)은 마땅히 나무라고도 남을 만하다. 삿대질뿐 아니라 송곳으로 후벼파듯 갈기갈기 파헤쳐야 하기도 할 테고. 그러나 이런 삿대질로 그친다면? 삿대질로만 그치고, 우리 스스로 한결 나은 모습으로 거듭나려 하지 않는다면? 진보를 외치고 싶은 사람들은 느껴야 한다. 느낀 대로 움직여야 한다. 진보이든 무슨 운동이든 한삶을 바쳐서 두 눈을 감는 날까지 멈출 수 없는 일이다. 어느 한때라도 흐트러짐이란 있을 수 없다. 자, 보라. 〈조선일보〉 기자 가운데 정년퇴직을 하는 날까지 흐트러짐을 보이는 기자가 있는가? ‘조선일보를 비판하는 사람’ 가운데 제 나이 예순이 되는 날까지 흐트러짐 없이 고이 제 길을 걷는 사람은 얼마나 되는가? 아니, 있기나 한가? 술자리에서만 목소리 높이고, 정작 제 몸뚱이는 움직이지 않는 사람들은 ‘조선일보를 나무랄 품’이 없다고 본다. 2007.5.26.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조선일보 기사
http://srchdb1.chosun.com/pdf/i_service/pdf_ReadBody.jsp?Y=2007&M=05&D=23&ID=2007052300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