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방 손님과 어머니 1
기선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6년 1월
평점 :
절판


- 책이름 : 게임방 손님과 어머니 (1∼3)
- 글ㆍ그림 : 기선
- 펴낸곳 : 서울문화사(2006)
- 책값 : 한 권에 3800원씩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를 바탕으로 요즘 흐름에 맞게 새로 꾸민 《게임방 손님과 어머니》입니다. 주요섭 님이 쓴 짧은소설을 모른다면, 이 책이름이 그저 그러려니 할 수 있을 텐데, 중고등학교를 다니는 아이들이라면 이 작품을 읽어 보지는 않았어도 글이름만은 한두 번 들어 보았겠지요.

 만화책 《게임방 손님과 어머니》를 보면, 이야기 짜임새가 1권과 2권에서 바쁘게 잘 돌아갑니다. 주요섭 님 소설이 두 어른 사이에 애틋한 마음이 요리조리 왔다갔다 한다면, 기선 님 만화는 아직 철이 없다고 할 두 어른 사이에 애틋함이란 없이 콩닥콩닥 다투거나 복닦이는 흐름입니다. 그러나, 이런 이야기 짜임새가 3권이 되면서 갑자기 느슨해지고 일찌감치 끝을 맺어 버렸다고 느낍니다. 아무래도 우리 나라 만화 터전 탓일 텐데, 이만한 이야기감이고 흐름이라면, 4권 5권 6권, 나아가 10권까지는 채울 만큼 줄거리를 탄탄히 짜고 살을 붙이면 한결 사랑을 받고 알콩달콩 부대끼는 우리 삶을 담아내며 웃음을 선사할 수 있지 않았겠느냐 싶습니다. 잡지에 이어싣기 버거웠다면 몇 회를 쉬는 편이 나았을 텐데. 잘나가다가 뚝 끊겼달까요.


[옥희 엄마] 게다가 얼마나 띨띨하고 후줄근한지, 그런 지저분한 녀석을 알바로 썼다가 손님이라도 떨어지면 어쩌지…….
[옥희] 엄마 나빠! 사람을 외모로 판단하면 안 돼요!  .. 〈1권 62쪽〉


 《게임방 손님과 어머니》는 주인공으로 나오는 세 사람, 먼저 ‘옥희 엄마’와 딸 ‘옥희’ 사이, 다음으로 ‘옥희 엄마’와 게임방 손님인 ‘판석’ 사이에 오가는 이야기와 사건이 중심입니다. 지난날 사랑방은 바람처럼 스치고 지나가는 길손이 머무는 곳이면서 애틋함이 묻어나는 문화라 할 테고, 오늘날 게임방은 옆에 있는 사람이야 어떻게 있든 자기가 놀고 싶은 대로 신나게 노는 문화입니다. 이런 문화답게 옥희 엄마와 옥희 사이에 오가는 말은 차례가 바뀌었다 싶도록 스물여섯 먹은 젊은 어머니가 퍽 철없어 보입니다.


[옥희] 옥희는 아저씨가 너무 좋아. 엄마도 아저씨 좋아?
[옥희 엄마] 음, 옥희야, 언젠가 네가 더 크면 얘기해 주려고 했는데, 잘 들어. 남자란 동물은 말이지, 여자보다 정신연령이 엄청나게 낮단다. 한 마디로 하등동물이지. 하물며 연하는 말할 것도 없어. 네가 보기엔 저 아저씨가 어엿한 어른으로 보일지 몰라도, 엄밀히 말해 남자도 여자도 인간도 아닌, 22년 묵은 개구리일 뿐이야.
[옥희] 그치만 22살이면, 아빠랑 엄마랑 결혼한 나이 아냐?  .. 〈1권 79∼80쪽〉


 철없는 어머니에 일찍 철든 딸. 여기에 마찬가지로 철이 안 든 스물두 살짜리 만화가. 철이 없기 때문에 더 ‘용감’하게 세상을 부딪힐 수 있겠지만, 철이 없기 때문에 얕은 이익에 따라 눈이 똥그래지기도 합니다. 어쩌면 얕은 이익에 따라 움직이다가 쓴맛을 보며 세상을 배울 수 있고, 얕은 이익을 다부지게 내치면서 자기 길을 꿋꿋하게 걸어가는 어려움과 보람을 익힐 수 있어요. 우리 살아가는 세상에 ‘바른 길’이란 딱 하나만 있지 않으니까요.

 누구나 자기 나름대로 자기가 좋아하는 일과 놀이를 찾아서 살아갈 때가 가장 좋아요. 생각과 꿈과 집안 터전과 이웃이나 부모와 살아가는 곳이 모두 다른 우리들입니다. 키도 다르고 몸무게도 다르고 말씨와 얼굴과 몸매도 다른 우리들입니다. 이렇게 다른 우리들이 다 똑같은 길을 갈 수 없겠지요. 이렇게 다른 우리들한테 다 똑같은 길을 가라고 하면 머리가 터지거나 홱 비뚤어질 수 있어요.


[옥희 엄마] 옥희는 시끄러운데도 잘만 자네. 게임방 집 딸은 역시 달라. 휴, 그나저나 거실이 아주 쓰레기장이네.
[판석] 귀찮은데 청소는 그냥 내일 하죠.
[옥희 엄마] 내 인생은 항상 이런 식이야. 정신차려 보면 항상 쓰레기 천지 속에 혼자 남아 있어. 대체 여기서 내가 뭘 하고 있는 거지?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 온통 쓰레기 천지야.
[판석] 누나?
[옥희 엄마] 제기랄! 다 지겨워! 거지 같은 게임방! 만날 이런 식이야! 사람들은 다 왔다가 가 버린다구! 내 상태가 조금만 안 좋아지면 다신 안 찾아와! 왜 내가 이렇게 거지같이 살고 있는 거야! 왜 내가 애 엄마야! 왜 내가 과부인 거야? ……
[판석] 누나는 하나도 잘못한 거 없어요. 그냥 조금 지친 것뿐이야. 누나가 아무리 그렇게 얘기해도 난 누나를 좋아해요. 내일 당장 게임방이 없어진다고 해도, 여기서 보낸 시간은 영원히 잊을 수 없을 거야  ..  〈2권 156∼159쪽〉


 일본 만화 《도레미 하우스》를 보면, 하숙집에 깃들어 지내는 어린 학생과 새로 하숙집 임자가 된 젊은 홀어미 사이가 애틋하게도 되었다가, 서로 토라지기도 하며 조금씩 세상과 사람과 둘레 삶터를 깨달아 갑니다. 조금씩 무르익는 사람으로 발돋움하며, 차근차근 따사로운 사랑으로 부풀어간다고 할까요. 《게임방 손님과 어머니》도 처음에는 철없이 살아가는 젊은 홀어미와 만화가가 나옵니다. 이들은 자기 삶을 ‘거지 같다’고 느끼지만, 참말로 거지 같은 일이 무엇인지, 자기가 왜 이렇게 자신을 깎아내려야 하는지, 자기가 바라는 꿈, 자기가 누리고 있는 그 젊음이 무엇인지 있는 그대로 돌아보지 못합니다. 그러는 가운데 게임방 임자인 옥희 엄마는 새로운 ‘손님’인 젊은 만화가를 집안에 받아들여 하숙(또는 사육)을 치고, 제멋대로 굴며 살던 만화가 판석은 잡지사 편집자한테 등떠밀려서 마감날짜를 꼬박꼬박 지키고 어디로 내빼지 못하게 되는 울타리인 게임방으로 살림(또는 갇힘)을 차리게 됩니다. 이리하여, 게임방은 그냥 게임방이 아니라, 막나가던 사람들 삶이, 앞이 시커멓고 아무것도 보이지 않던 삶이, 그대로 이어가느냐, 이제부터 하나하나 달라지느냐 하는 갈림길로 거듭납니다.

 사랑방도, 게임방도, 또 빨래방이나 노래방도, 찻집이나 술집이나 밥집도, 하숙집이나 전세집 같은 우리네 살림집도 모두 《게임방 손님과 어머니》에 나오듯이 ‘거지 같이 사는 꼬락서니’로 이어가는 곳이 될 수 있고, ‘내가 참으로 바라던 삶이 무엇인가 돌아보는 터전’으로 달라지는 곳이 될 수 있습니다. 느끼기 나름이고, 받아들이기 나름이니까요. 내가 바라는 것이 돈인지 이름인지 힘인지, 아니면 꿈인지 믿음인지 사랑인지를 생각해 볼 일입니다. 내가 지금 어떤 길로 걸어가는지 돌아볼 일입니다.

 이 만화책을 ‘거참, 재미있네’ 하고 덮을 수 있습니다. ‘음, 뭔가 아쉽네’ 하고 덮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내가 둘레 사람들과 맺고 있는 끈’은 무엇이고 ‘내가 걷는 이 길’은 무엇인가 가만히 짚어 볼 수 있어요. 뭐, 책도 읽는 사람에 따라 다 다르게 받아들일 테니까요. (4340.3.8.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