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 4

부산일보 기자가 내 사진을 멋대로 가져다쓰고서 아무 말이 없은 줄 나중에 알다. 부산일보에 전화를 걸어 그 기자한테 따졌다. 그 기자가 하는 말, “내가 좋은 뜻으로 사진을 써서 부산 보수동 헌책방골목을 좋게 알리는 일을 했는데 뭐가 잘못이오?” 훔침질을 한 사람이, 기자란 분이, 되레 큰소리이다. 기자가 되는 이는 저작권법 공부를 안 하는 듯하다. 2014.10.1.


저작권 5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말이지, 내 사진을 표절한 작품에 무슨 사진공모전 대상을 주었단다. 그곳 무슨 과장인가 하는 분하고 직원 한 사람이 고흥에 왔다. 이들은 사진저작권 도용을 둘러싸고서 우리한테 200만 원 피해배상을 하기로 하면서, 그 사진은 그대로 공모전 대상으로 삼겠다고 한다. 그런데 고흥에서 서울로 돌아간 그들은 말을 바꾸어 연락을 뚝 끊네. 이러더니 우리가 그들을 협박하면서 200만 원을 뜯어내려 한다고 변호사한테 이 일을 넘겼다고 밝힌다. 그분들은 왜 이런 짓을 벌일까? 잘못해서 무릎 꿇고 빌겠다며 찾아왔으면 그 값을 치르든지, 잘못한 일이 없다고 여긴다면 굳이 고흥에 올 일도 없고, 사진공모전 대상이라는 작품을 널리 퍼뜨리든지. 그들은 그들 누리집에 올렸던 시상식 사진을 지우고, 공모전을 했다는 자취도 다 지웠다. 가만 보니 ‘잘못했습니다’ 같은 말을 제대로 하지도 않았네 싶다. 2016.2.1.


저작권 6

아마 2002년 일이었다고 떠오르는데, 경향신문에서 내 사진을 빌려갔다. 기사에 쓰고서 돌려주기로 했는데 안 돌려준다. 이레 뒤에 연락하니 곧 돌려주겠노라 했고, 한 달이 지나도 꿩 잡아먹은 듯하여 다시 연락하니 사진을 잃어버렸단다. 기자한테 묻는다. “사진값을 치르기에는 신문사 형편이 어렵다 하셔서 좋은 마음으로 사진을 빌려주었습니다. 그런데 사진을 돌려주지 않으시고, 잃어버리셨다면, 잃어버린 그 사진값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열 몇 해 된 이야기를 굳이 남겨 본다. 왜냐하면, 뭐 이런 일이 있은 뒤, 이 때문은 아닐 테지만, 경향신문에서 내 책을 꼭 한 권조차도 소개한 적이 없네. 2016.7.5.


저작권 7

연합뉴스에서 2017년에 내 사진을 멋대로 쓰고서 연합뉴스 이름까지 박아서 퍼뜨렸다. 이런 일을 몇 달이 지나고서야 알았네. 그런데 2019년에 이런 일이 또 불거졌다. 참 딱하다. 왜 그럴까? 왜 사진값을 제대로 치르면서 쓰려 하지 않는가? 더구나 사진에 사진저작권을 적을 생각을 안 하고서 써도 되는가? 2019.2.5.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