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community
커뮤니티(community) : [사회] 지연에 의하여 자연 발생적으로 이루어진 공동 사회. 주민은 공통의 사회 관념, 생활 양식, 전통, 공동체 의식을 가진다
community : 1. (특정 지역·국가 등에 사는 사람들을 통칭한) 주민, 지역 사회 2. (종교·인종·직업 등이 같은 사람들의) 공동체[사회] 3. 공동체 의식 4. (식물의) 군락, (생물의) 군집
영어 ‘커뮤니티’는 한국말사전에도 나옵니다. 두 사전 뜻풀이를 곰곰이 보자면, ‘두레’나 ‘마을’이나 ‘모임’으로 풀어낼 만하구나 싶습니다. 아직 두 사전은 이처럼 풀어내지 않고 ‘커뮤니티’를 그냥 쓰거나 ‘공동체·지역 사회’라고만 하지만, 차츰 ‘두레·마을·모임’이란 말을 쓰는 사람이 늘어납니다. 예부터 마을에서 살았고, 모임을 했으며, 두레를 맺었거든요. ㅅㄴㄹ
도시 내 재일조선인 커뮤니티의 인구가 줄어들고 도시 재개발이 진행된 것도 이 시기였다
→ 이즈음 도시에서 재일조선인 모임이 줄어들고 도시 재개발이 퍼졌다
→ 이무렵 도시에서 재일조선인 두레가 줄어들고 도시 재개발이 일었다
《북한행 액서더스》(테사 모리스-스즈키/한철호 옮김, 책과함께, 2008) 323쪽
지역에 따로 커뮤니티 공간을 만들지 않아도 동네도서관이 그 역할을 대신한다
→ 마을에 따로 두레터를 마련하지 않아도 마을도서관이 이 노릇을 한다
→ 마을에 따로 모임자리를 열지 않아도 마을도서관이 이 구실을 한다
→ 마을에 따로 모일 곳을 두지 않아도 마을도서관이 이 몫을 한다
《동네도서관이 세상을 바꾼다》(이소이 요시미쓰/홍성민 옮김, 펄북스, 2015) 113쪽
귀촌을 하면서 직장, 주거, 커뮤니티가 한 곳에 모여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집을 구했어요
→ 시골로 오면서 일터, 집, 마을이 한 곳에 모이면 좋겠다고 바라며 집을 찾았어요
→ 시골로 오면서 일, 살림, 모임이 하나로 있으면 좋겠다고 바라며 집을 얻었어요
《여자, 귀촌을 했습니다》(이사 토모미/류순미 옮김, 열매하나, 2018) 135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