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infrastructure



인프라(←infrastructure) : [건설] 생산이나 생활의 기반을 형성하는 중요한 구조물. 도로, 항만, 철도, 발전소, 통신 시설 따위의 산업 기반과 학교, 병원, 상수·하수 처리 따위의 생활 기반이 있다 ≒ 인프라스트럭처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 [건설] = 인프라

infrastructure : 사회[공공] 기반 시설



  ‘인프라·인프라스트럭처’는 한국말사전에 안 담아도 될 영어입니다. ‘기반시설’이라 해도 되지만 ‘시설’이라 해도 되고, 이를 ‘밑틀·살림틀·삶틀·마을틀·나라틀’ 같은 새말로 담아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기 인프라가 없다”라면 “전기가 안 들어온다”로, “출판 인프라가 부족하다”라면 “책 펴낼 길이 없다”나 “책을 펴내가 힘들다”로 풀어낼 만해요. ㅅㄴㄹ



방대한 ‘반공 인프라’를 통해 끊임없이 반공주의를 재생산해 왔습니다

→ ‘반공 밑틀’을 엄청나게 깔아 끊임없이 반공 이야기를 길어올렸습니다

→ 엄청나게 세운 ‘반공 틀거리’로 끊임없이 반공 노래를 지어 왔습니다

《저항하는 평화》(전쟁없는세상, 오월의봄, 2015) 150쪽


아직 전기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지 않아

→ 아직 전기 밑틀이 없어

→ 아직 전기가 들어오지 않아

→ 아직 전기를 쓰지 않아

《사라질 것 같은 세계의 말》(요시오카 노보루·니시 슈쿠/문방울 옮김, SEEDPAPER, 2018) 37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