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벽촌 僻村


 전깃불도 없는 벽촌 → 전깃불도 없는 외딴마을

 읍내인지 벽촌인지 → 읍내인지 두메인지

 산악 지대의 벽촌에서 → 멧자락 두멧골에서


  ‘벽촌(僻村)’은 “외따로 떨어져 있는 궁벽한 마을”이라 합니다. ‘외딴-’을 붙인 ‘외딴곳·외딴데·외딴마을·외딴고을·외딴골’이나 ‘두메-’를 붙인 ‘두멧골·두멧마을·두멧고을’이라 하면 됩니다. 수수하게 ‘두메’라고만 해도 되고, ‘외딴’이나 ‘외진’을, 또는 ‘깊은’을 쓸 수 있습니다. ㅅㄴㄹ



그런 벽촌에도 제대로 계절이 왔고 꽃이 피고 잎이 무성하고 했다

→ 그런 두멧골에도 제대로 철이 왔고 꽃이 피고 잎이 우거지고 했다

→ 그런 외딴골에도 제대로 철이 왔고 꽃이 피고 잎이 우거지고 했다

《인간탐구의 문학》(백철, 창미사, 1986) 184쪽


20세대 정도의 벽촌이었다

→ 스무 세대쯤 되는 외딴 마을이었다

→ 스무 세대 남짓인 외진 마을이었다

《메이지의 문화》(이로카와 다이키치/박진우 옮김, 삼천리, 2015) 58쪽


그곳이 완전 벽촌이라서

→ 그곳이 아주 두메라서

→ 그곳이 아주 깊어서

→ 그곳이 아주 외딴데라서

《블랙 벨벳》(온다 리쿠/박정임 옮김, 너머, 2018) 134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