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씁니다 ― 2. 터
저는 1992년부터 헌책집을 드나들었고, 서울에 있는 헌책집은 1993년에 처음 다녔으나 제대로 널리 다닌 해는 1994년입니다. 서울에서 살던 무렵에는 뻔질나게 헌책집을 다녔으나 삶자리를 시골로 옮긴 뒤로는 한 해에 한걸음을 하기도 만만하지 않습니다. 그럴밖에요. 시골에서 살며 서울에 여러 달에 한걸음을 하는데, 다른 볼일을 살피는 틈에 살짝 찾아갈 뿐이거든요. 예전에는 미처 헤아리지 못했는데, 스물다섯 해 앞서 마주한 헌책집 아이는 이제 서른이란 나이를 훌쩍 지납니다. 아무렴, 그러겠지요. 어버이가 어제 일군 일터에서 오늘 새롭게 땀을 흘리면서 살림을 짓는 책집지기를 바라보다가 문득 ‘터’라는 낱말이 제 마음으로 스몄습니다. ‘터’라, 터란 무엇일까? 저는 제가 시골집에서 누리는 집을 앞으로는 숲터가 될 만한 곳으로 가꾸는 길을 가려고 생각합니다. 숲터가 되는 집터라면 언제나 신나는 놀이터요 삶터이자 쉼터이고 이야기터이며 마음터에 살림터가 되겠지요. 서울 한복판에 있는 책터는 왁자지껄 부산한 곳에서 어떤 터가 될까요? 배움터요 새터이면서 샘터가 될 수 있기를, 노래터이자 꿈터이면서, 책 하나로 아름다이 어우러지는 싱그러운 놀이터도 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책만 잔뜩 있는 터전이 아닌, 숲에서 온 나무로 빚은 책에 흐르는 하늘처럼 파란 숨결을 푸르게 담아낸, 더없이 사랑스러운 사랑터로, 만남터로, 사람터로 나아간다면 참으로 즐거우리라 생각합니다.
터
맑은 물은 샘터
즐거운 우리 보금자리터
나무가 푸른 숲터
구름이 가득 하늘터
즐겁게 가꾸는 꿈터
사이좋게 나누는 배움터
도란도란 이야기터
처음으로 지은 새터
묵은 때 벗는 빨래터
그림책 만화책 좋아 책터
다리에 기운나도록 쉼터
마실을 가는 저자터
알뜰살뜰 일터
하루가 싱그러운 살림터
이 별은 삶터
우리가 사랑하는 놀이터
(숲노래/최종규 . 삶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