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수구 受口
‘수구(受口)’하고 ‘추구(追口)’는 한자말이 아닌 일본말입니다. 일본말사전을 살피면 ‘うけぐち(受口)’를 “1. 우편물 등의 접수구(接受口) 2. 아래턱이 위턱보다 더 내민 입 모양 3. 벌목할 때, 나무가 쓰러지는 쪽; 또, 그 밑동의 도끼 자국(↔반의어 追い口)”으로 풀이하고, ‘おいくち(追い口)’를 “나무를 벨 때 베는 쪽이 아닌 반대쪽”으로 풀이합니다. 한국말사전에는 한자말 ‘수구’를 스물한 가지나 싣는데, 수영 경기 가운데 하나를 나타내는 낱말을 빼고는 모두 털어낼 만하지 싶습니다. ‘수구(受口)’는 ‘첫톱질’로, ‘추구(追口)’는 ‘끝톱질·맞톱질·마감톱질’로 옮기면 됩니다. ㅅㄴㄹ
수구(手具) : 체조 따위를 할 때 손에 가지고 하는 도구
수구(水口) : 1. 물을 끌어 들이거나 흘려 내보내는 곳 2. [민속] 풍수지리에서, 득(得)이 흘러간 곳
수구(水狗) : [동물] = 수달(水獺)
수구(水球) : [운동] 수영 경기의 하나
수구(水溝) : [한의학] 독맥(督脈)의 혈인 ‘인중(人中)’을 달리 이르는 말
수구(水溝) : [북한어] ‘도랑’의 북한어
수구(守口) : 비밀이 새어 나가지 않도록 말을 삼감
수구(守舊) : 옛 제도나 풍습을 그대로 지키고 따름
수구(秀句) : 뛰어난 시구(詩句)
수구(垂鉤) : 낚시를 드리우고 고기를 낚음
수구(首丘) : = 수구초심
수구(首句) : [문학] = 기구(起句)
수구(袖口) : = 소맷부리
수구(隋寇) : 수나라 도적
수구(搜求) : 조사하여 찾음
수구(愁懼) : 근심하며 두려워함
수구(壽具) : 사람이 죽은 뒤 염할 때에 쓰는 옷, 이불, 베개, 버선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수구(壽?) : = 수고(壽考)
수구(需求) : 필요하여 찾아 구함
수구(瘦軀) : 빼빼 마른 몸
수구(讐仇) : = 원수(怨讐)
처음 톱질은 수구(受口)라고 하는데, 줄기의 4분의 1 가량을 썬다. 나무는 나중에 이 방향으로 쓰러진다. 그 다음에 반대편에서 추구(追口)를 한다
→ 처음 톱질은 줄기 1/4 즈음을 썬다. 나무는 나중에 이쪽으로 쓰러진다. 그 다음에 맞은쪽에서 맞톱질을 한다
→ 첫톱질은 줄기 1/4 즈음을 썬다. 나무는 나중에 이쪽으로 쓰러진다. 그 다음에 맞은쪽에서 끝톱질을 한다
《노르웨이의 나무》(라르스 뮈팅/노승영 옮김, 열린책들, 2017) 59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