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시도 試圖


 이번 일은 시도 자체가 무리였다 → 이 일은 할 때부터 어려웠다

 몇 번의 시도 끝에 → 몇 번 해본 끝에

 우리의 시도는 일단 실패한 것이오 → 우리 몸짓은 아무튼 틀렸오

 최초로 시도되다 → 처음으로 하다 / 처음으로 해보다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 → 바지런히 한다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았으나 → 여러 가지로 해보았으나

 재차 시도하다 → 거듭 하다 / 다시 해보다


  ‘시도(試圖)’는 “어떤 것을 이루어 보려고 계획하거나 행동함”을 가리킨다고 해요. 이 한자말은 ‘하다·해보다’로 손보면 됩니다. 때로는 ‘부딪히다’로 손볼 수 있고, 흐름을 살펴 가볍게 털어낼 수 있습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시도’를 일곱 가지 더 싣는데, 행정구역 시·도를 나타내는 낱말을 빼고는 모두 털어낼 만합니다. ㅅㄴㄹ


시도(市道) : 1. 관할 시장이 노선을 인정하고 시비(市費)로 건설·관리·유지하는 시내 도로 2. 행정 구역으로 나눈 시와 도

시도(示度) : 1. 계기(計器)가 가리키는 눈금의 숫자 2. [지리] 기압계가 나타내는 기압의 높이

시도(示導) : 나타내 보이어 지도함

시도(始睹) : = 초견(初見)

시도(視度) : [물리] 공기 속에 어떤 물질이 떠 있거나 가스가 섞인 정도를 나타내는 대기의 투명한 정도. 볼 수 있는 거리에 따라 0에서 9까지의 번호를 붙여서 구분한다

시도(詩道) : 시를 짓는 방법

시도(?徒) : 예전에, 말이나 소를 먹이는 따위의 천한 일에 종사하던 하인



무엇이든 배워 보고 시도해 볼 수 있어요

→ 무엇이든 배워 보고 해 볼 수 있어요

→ 무엇이든 배워 보고 부딪혀 볼 수 있어요

《10대와 통하는 심리학 이야기》(노을이, 철수와영희, 2017) 225쪽


필사적인 한판을 시도하기로 한다

→ 죽음을 건 한판을 해보기로 한다

→ 목숨을 걸고 한판 붙기로 한다

《로버트 카파, 사진가》(플로랑 실로레/임희근 옮김, 포토넷, 2017) 56쪽


여러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여러 가지를 해봅니다

《흙집에 관한 거의 모든 것》(황혜주, 행성B, 2017) 44쪽


한번 시도해 보시죠

→ 한번 해보시죠

→ 한번 부딪혀 보시죠

《그림으로 글쓰기》(유리 슐레비츠/김난령 옮김, 다산기획, 2017) 7쪽


첫 외출을 시도했습니다

→ 첫 마실을 해보았습니다

→ 첫 나들이를 했습니다

《너의 마음을 들려줘》(혜별, 샨티, 2018) 16쪽


밖에서 찾기보다 내 안에서 찾기를 시도해 보자

→ 밖에서 찾기보다 나한테서 찾아보자

→ 밖에서보다 나한테서 찾아보자

《내 안의 자연인을 깨우는 법》(황경택, 가지, 2018) 9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