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전문가가 만난 24인의 마을주의자 - 마을공동체를 위한 전망과 대안을 찾아서
정기석 지음 / 펄북스 / 2016년 12월
평점 :
품절


인문책시렁 14


《마을전문가가 만난 24인의 마을주의자》

 정기석

 펄북스

 2016.12.20.



“마을만들기는 마음만들기입니다. 도대체 마을만들기가 무슨 말일까요? 아니, 이미 마을이 있는데 또 무슨 마을을 자꾸 만들려고 하는 걸까요.” (26쪽)


“간장, 된장, 고추장을 원래 누가 만들었지요? 농림축산식품부인가요, 식품공학 박사들인가요? 바로 우리 농민이잖아요. 우리 농민이야말로 농산물 가공을 잘할 수 있는 자격과 능력이 있잖아요.” (27쪽)


독일 농정의 정상화와 선진화는, 독일농민의 의식수준과 생활방식은, 결국 독일 교육의 성과물이라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교육부가 아닌 사회복지부가 책임지는 독일의 유치원에서는 3년 내내 아무것도 가르치지 않는다. (76쪽)


“지금 국가적으로, 사회적으로 ‘일자리 창출’ 구호가 지상과제처럼 난무하고 있지만, 마을공동체사업까지 그것도 단기간에 일자리 창출로 연결시키는 건 억지스럽고 무리라는 생각입니다. 일자리 창출이 최고의 선으로 인정되는 순간, 평생학습이나 공동체는 경제의 하위개념으로 물러나게 되니까요.“ (102쪽)



  전국 지자체마다 여러 가지 일을 ‘사업’이란 이름을 붙여서 벌입니다. 이런 사업을 보면 ‘개발사업’이 대단히 많고, 문화예술을 놓고도 ‘문화사업’이라 합니다.


  이들 사업은 하나같이 돈이 많이 들어갑니다. 개발을 하건 문화를 북돋운다고 하건, 돈을 들이지 않고도 즐거우면서 아름다운 마을이 되도록 북돋우는 길은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이제 모든 사업은 멈추고 생각해야지 싶습니다. 왜 사업을 해야 할까요? 그냥 ‘일’만 하면 되지 않을까요? 돈을 쓰는 사업이 아닌, 마음을 기울이면서 함께 보금자리를 짓는 일을 할 때가 아닐까요?


  《마을전문가가 만난 24인의 마을주의자》(정기석, 펄북스, 2016)를 읽는 내내 ‘마을전문가·마을주의자’라는 이름이 거북했습니다. 마을에 사는 사람이 왜 전문가여야 하는지, 또 왜 주의자여야 하는지 아리송합니다. 그런데 오늘날 전국 지자체가 돌아가는 흐름을 보니, 마을지기나 마을살림이 스스로 벼슬아치나 군수·시장 앞에서 ‘전문가’ 같은 이름으로 마주서야 하는구나 싶기도 합니다.


  고흥이란 시골 지자체 이야기를 적어 보겠습니다. 3선을 하고 물러난 예전 군수뿐 아니라, 민주당 깃발꽂기를 밀쳐낸 새 군수도 ‘고흥만 경비행기 시험장 사업’을 여러 전문가 뜻을 듣고서 밀어붙이는데, 벼슬아치나 군수 모두 ‘개발 전문가’ 목소리에만 귀를 기울입니다. 길어 봤자 20∼30해밖에 안 되는 개발 전문가 목소리에는 돈을 들이붓는 일을 함부로 벌이고, 마을에서 60∼70해를 살아온 ‘시골마을 전문가’ 목소리에는 귀를 기울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자연하고 생태를 40∼50해 남짓 살피며 배우고 지킨 ‘자연전문가·생태전문가’ 목소리는 아예 들으려고 하지 않더군요.


  어느 모로 본다면 이 나라 한국은 언제나 개발전문가 목소리를 내세워 삽차를 밀어붙였지 싶어요. 자연전문가·생태전문가·농사전문가·시골전문가·숲전문가·바다전문가 목소리에는 내내 귀를 닫았기에 공해가 커지는 줄 잊지 말 노릇입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