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구태여 헌책을 찾나요?

 


 어제 낮, 문화방송 어느 풀그림 사회자하고 만나보기를 했다. 이때 받은 물음 가운데 두 가지 대답. 이 자리에서 들려준 이야기에다가, 시간이 짧아 미처 말하지 못한 이야기를 덧붙여 본다.

 

- 물음 1 -
 “새책도 있는데, 왜 헌책을 찾으러 다니시나요?”

 “저는 헌책방만 다니지 않습니다. 새책방도 곧잘 다닙니다. 다만, 헌책방을 좀더 자주 다닌다뿐인데, 이달에 나오고 한 달이 지나면 그 책은 새책일까요 헌책일까요. 지금 나오는 책들 가운데에는 예전에 나왔다가 다시 나오는 책도 많습니다. 이런 책은 새책일까요 헌책일까요. 세계고전명작이라고 해서, 또는 한국현대소설전집이라고 해서 나오는 책이 있습니다. 리영희 전집이라든지 송건호 전집이라든지, 곧 나올 이오덕 전집이라든지 여러 가지 전집이 있는데, 이런 책은 새책일까요 헌책일까요. 교보문고나 영풍문고 같은 데 보면 스테디셀러나 베스트셀러라는 책이 있어요. 이런 책은 1999년부터 찍어서 파는 책도 있고 1980년에 나왔는데 여태까지도 널리 사랑받는 책이 있어요. 그래서 교보나 영풍에서는 2006년 12월에 찍은 판을 만날 수 있고, 헌책방에서는 1999년이나 1985년이나 1989년이나 2004년에 찍은 판을 만날 수 있는데, 교보에서 만난 책은 새책이고 헌책방에서 만난 책은 헌책일 텐데, 두 가지 책은 왜 이렇게 나누어야 할까요? 또, 책에 적힌 값을 빼놓고 새책과 헌책으로 나눈다는 일이, 책에 담긴 줄거리를 읽고 헤아리고 받아들이는 데에 뭐 달라지거나 영향 끼칠 대목이 있을까요? 저는 그저 책을 읽을 뿐입니다. 그래서 책을 바라보는 눈길, 우리 삶에 참으로 도움이 되고 제 자신을 있는 그대로 돌아보면서 가꾸는 데에 밑거름이 되는 책을 찾을 뿐입니다. 그런데 새책과 헌책을 억지로 나누면 책을 제대로 못 보고 말아요. 생각이 치우친달까요. 껍데기가 낡았다고 줄거리가 낡아질까요? 책에 김치국물이 묻었다고 줄거리에도 김치국물이 묻을까요? 책이 반드레하다고 줄거리도 반드레할까요? 책껍데기가 아름답고 멋져 보인다고 줄거리도 아름답고 멋질까요? 책 꾸밈새가 좀 어설프다고 줄거리가 어설플까요? 이름나고 훌륭하다는 분이 쓴 책이라고 모두 이름날 만하고 훌륭한 줄거리를 담을까요? 우리한테 낯선 글쟁이가 쓰고 처음 보는 출판사에서 낸 책이라고 줄거리가 허접하거나 보잘것없을까요? 이른바 ‘편견’이라는 것, ‘고정관념’이라는 것을 갖고 싶지 않아서, 제 생각과 몸과 마음을 자유롭게 풀어놓고 세상을 부대끼면서 제 자신을 가꾸고 싶어서 헌책방을 찾고, 헌책을 있는 그대로 느끼려 하고 있습니다.”

 

- 물음 2 -
 “책 만드는 일을 하신다고 했는데, 새책을 만드는 일이잖아요. 책을 만드는 몸가짐이라고 한다면?”

 “제가 헌책방에서 찾아보는 책은 여러 가지인데, 이 가운데 제게 참으로 고맙고 좋은 책은 ‘서른 해 앞서뿐 아니라 지금 읽어도 좋은 책’입니다. 또한 ‘서른 해 앞서 나왔는데 지금 읽어도 좋고, 앞으로 서른 해 뒤에 읽어도 좋겠구나’ 하는 느낌이 드는 책은 더욱 좋습니다. 그래서 저는 지금 새로 펴내는 책이라 한다면, 앞으로 서른 해 뒤에 누군가 찾아서 읽는다고 할 때에도 ‘참 좋구나’ 하는 생각을 할 수 있는 책을 엮어내려 합니다. 제가 책을 엮는 마음이라면 이런 것이고, 이런 마음을 고이 간직하면서 이어나가려고 헌책방 나들이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서른 해 앞서 나왔는데 지금 읽어도 좋다고 느낄 만한 책을 찾으면서, 제가 앞으로 걸어가야 할 길을 배운다고 할 수 있어요.”

 

 다른 물음도 몇 가지 더 있었으나 잊어 버렸다. 뭐, 짤막짤막한 신변잡기 같은 물음도 있었고. (4339.12.21.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