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정상 正常
정상 수업 → 제 수업
공장이 정상으로 가동되다 → 공장이 제대로 돌아가다
지하철이 정상 개통되다 → 지하철이 제대로 뚫리다
혈압이 정상이다 → 혈압이 제대로이다
그 사람은 정상이 아니다 → 그 사람은 제대로가 아니다 / 그 사람은 제넋이 아니다
‘정상(正常)’은 “1. 특별한 변동이나 탈이 없이 제대로인 상태 2. [북한어] 있어야 할 상태에 바로 있는 것. 또는 그런 상태”를 가리킨다고 해요. 이는 ‘제’나 ‘제대로’로 손질합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정상’이 열여섯 가지 나오는데, 모두 털어낼 만합니다. 2018.7.30.달.ㅅㄴㄹ
정상(正狀) : 정상(正常)의 상태
정상(正像) : [불교] 정법(正法)과 상법(像法)을 아울러 이르는 말
정상(呈上) : = 정납(呈納)
정상(定常) : 일정하여 늘 한결같음
정상(政狀) : [북한어] 정계의 형편이나 상황
정상(政商) : 정치가와 결탁하거나 정권(政權)을 이용하여 사사로운 이익을 꾀하는 사람
정상(情狀) : 1. 있는 그대로의 사정과 형편 2. 딱하거나 가엾은 상태 3. [법률] 구체적 범죄에서 구체적 책임의 경중에 영향을 미치는 일체의 사정
정상(情想) : 감정과 생각을 아울러 이르는 말
정상(旌賞) : 공로를 표창함
정상(頂相) : [불교] 선원(禪院)에서, 고승의 초상화를 이르는 말
정상(晶相) : 1. 결정(結晶)의 모양새. 결정면의 조화가 달라 같은 물질의 결정 외형이 다르게 나타난다 2. [북한어] 수정(水晶)의 모양새
정상(禎祥) : 경사롭고 복스러운 징조
정상(精爽) : = 정령(精靈)
정상(精詳) : 정밀하고 자상함
정상(整商) : [수학] 나누어 떨어졌을 때의 정수의 몫
정상(靜想) : 명상에 잠김
저 녀석이 정상으로 돌아올 때까지
→ 저 녀석이 제자리로 돌아올 때까지
→ 저 녀석이 제대로 돌아올 때까지
《용과 함께》(하나가타 미쓰루/고향옥 옮김, 사계절, 2006) 88쪽
왜 그런 식으로 말하지? 당신 이상해. 정상이 아니야
→ 왜 그렇게 말하지? 너 얄궂어. 제대로가 아니야
→ 왜 그렇게 말하지? 너 아리송해. 바르지 않아
→ 왜 그렇게 말하지? 너 뒤틀렸어. 제넋이 아니야
→ 왜 그렇게 말하지? 너 비틀렸어. 미쳤어
《도쿄 후회망상 아가씨 4》(히가시무라 아키코/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17) 148쪽
현대 의학이 찾아내지 못하는 것이라면 정상正常
→ 현대 의학이 찾아내지 못한다면 맞다
→ 현대 의학이 찾아내지 못한다면 옳다
→ 현대 의학이 찾아내지 못한다면 제대로
《미안하다》(표성배, 갈무리, 2017) 123쪽
어떤 사회에서는 어린아이가 일하는 것을 정상이라고 생각한다
→ 어떤 사회에서는 어린아이가 일하는 삶을 바르다고 생각한다
→ 어떤 곳에서는 일하는 어린아이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 어떤 곳에서는 일하는 어린아이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다
《인류는 아이들을 어떻게 대했는가》(피터 N.스턴스/김한종 옮김, 삼천리, 2017) 12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