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를 보다 (사전 짓는 책숲집, 숲노래 2018.6.4.)

 ― ‘사전 짓는 책숲집, 숲노래 = 사진책도서관 + 한국말사전 배움터 + 숲놀이터’


  아침에 풍양중학교에 가서 이야기꽃을 펴고, 낮에 고흥중학교에 가서 이야기꽃을 폅니다. 두 곳 모두 고흥이라는 시골에 깃든 중학교인데, 풍양중학교 푸름이만 스스로 ‘시골’이라 여기지 싶고, 고흥중학교 푸름이는 ‘시골 아닌 시내(읍내)’에 있을 뿐 아니라, 머잖아 큰 도시로 나아가리라고 여기는구나 싶습니다. 무엇보다 두 중학교 푸름이 가운데 고흥말이나 전라말을 쓰는 모습을 거의 못 봅니다. 교사 가운데 시골말을 쓰는 분도 드뭅니다. 시골 중학교 학생이나 교사는 무엇을 볼까요? 무엇을 보면서 무엇을 생각할까요? 저는 대학교 졸업장은 키우지 않으니, 교사자격증이 없습니다만, 이렇게 강사로 곳곳에 찾아가곤 합니다. 책도 글도 삶도 말도 살림도 사랑도 ‘겉모습이나 겉치레’가 아닌 ‘마음이나 생각’으로 짓거든요. 어느 분은 제가 공개석상에 왜 반바지나 민소매를 입느냐고, 머리카락은 왜 치렁치렁 늘어뜨리거나 머리핀으로 여미느냐고 따집니다. 그래서 저는 그런 분한테 으레 되물어요. 그대는 왜 한국사람이면서 양복을 입나요? 그 양복이 그대한테 좋아서, 격식을 차리려는 뜻으로 입겠지요? 저는 시골에서 살며 갖은 일을 다하고 햇볕하고 바람을 먹으면서 늘 땀흘려 일하는 사람이니 민소매에 반바지 차림으로 일하고 돌아다닙니다. 책을 읽을 적에 글쓴이 배움끈에 따라서 읽어야 할까요? 책잔치를 벌이는 자리에 글쓴이가 번쩍거리는 옷을 차려입고 나와야 이야기에 꽃이 필까요? 마음을 읽거나 바라보려 하지 않고서 얼굴이나 겉차림을 바라보려 한다면, 아마 겉치레만 배울 테고, 이런 교사는 학생한테 겉치레를 가르치겠지요. 저는 우리 집 아이들한테뿐 아니라, 고운 이웃님이나 자라나는 푸름이한테 겉치레 아닌 사랑을 이야기해 주고 싶습니다. 삶을 가꾸는 아름다운 말은 즐겁게 꿈을 짓는 살림살이에서 피어납니다. 말을 잘하거나 글을 잘 쓰려면 얼굴이 잘생겨야 하거나 목소리가 좋아야 하지 않으며 맞춤법을 잘 알아야 하지 않습니다. 이야기로 풀어내고 싶은 즐거운 삶을 손수 짓는 새로운 하루를 여는 마음이라면, 누구나 말을 잘하거나 글을 잘 씁니다. 여기를 보셔요. 산들산들 싱그러이 바람이 부는 우리 가슴을 보셔요.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8441438




* 새로운 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사전 짓는 책숲집,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국어사전을 짓는 일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


[알라딘에서]

 http://blog.aladin.co.kr/hbooks/57845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