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어서 밤새 읽는 진화론 이야기 재밌어서 밤새 읽는 시리즈
하세가와 에이스케 지음, 김정환 옮김, 정성헌 감수 / 더숲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윈이 진화론을 발표해서 세상을 뒤집어놓은 이래로 진화론은 항상 논란과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이젠 일부 극단적인 종교집단이 아닌 한 진화론 자체를 부인하진 못하는 상황이 되었지만

여전히 진화론의 실체가 뭔지에 대해 막연한 이미지만 가지고 있을 뿐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나름 진화론에 관심이 많아서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이일하 교수의 생물학 산책'

진화론을 다룬 책들을 종종 읽었지만 아직 진화론에 대한 체계가 잡혀 있지 않은 상태인데

재밌어서 밤새 읽는 진화론 이야기라는 이 책의 제목이 딱 와닿아서 바로 손에 들게 되었다.

진화론의 과거, 현재, 미래를 간략하게 정리한 이 책에선 라마르크의 용불용설을 최초의 진화론으로

소개한다. 지금은 교과서에 용불용설이 소개되지 않고 있다는데 획득한 형질이 유전된다는 용불용설은

창조론이 득세하던 세상에 과학적 이론을 제시했다는 역사적 의미가 있다고 얘기한다.

진화론의 스타 다윈과 관련해선 대부분 아는 내용들이 등장하는데, '종의 기원'에 자연 선택설로는

설명할 수 없을지도 모르는 예까지 소개했다는 점은 처음 알게 되었다.

일개미나 일벌처럼 자식을 낳지 않음에도 일하는 성질이 어떻게 다음 세대에 전해지는지에 대해 

다윈은 자신의 이론으로 설명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솔직하게 고백했는데, 현대 진화론에서는

일개미나 일벌이 여왕의 자식이라는 점을 근거로 여왕에게도 일하는 성질을 관장하는 유전자가 있어서

여왕을 통해 그 성질이 다음 세대에 계승된다고 설명한다. 다윈의 자연 선택설은 진화의 기본 원리를

제공했지만 구체적인 유전의 매커니즘은 멘델의 유전법칙으로 구체화되었다.

유전자의 정체가 DNA임이 밝혀지고 이중나선구조와 DNA 안에 있는 염기의 배열이 형질의 차이를

낳는다는 유전의 수수께끼가 어느 정도 풀리자 다윈의 진화론에선 명확하지 않았던 유전현상을

도입해 진화론을 새롭게 만든 종합설이 등장한다. 진화의 모든 과정을 DNA로 구성된 유전자의

움직임으로 환원해서 이해하려는 견해인데 진화의 연속성 여부와 관련해선 논란이 존재했다.

그리고 자연선택에 따라 유전적 변이 중 환경에 유리한 것이 증가해 적응한다는 적응만능론에

대해서도 자연선택의 원리와는 전혀 상관없이 유전자 빈도를 변화시킨다는 유전적 부동을 주장한

중립설도 있어 유전적 부동과 자연선택의 두 가지 원리가 대립 또는 동조하며 형질의 진화 방향을

결정함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일하지 않는 그물등개미가 멸종하지 않는 이유나 경쟁 관계에 있는

종들의 생존방식, 투구새우의 위기관리 방법 등 현재의 진화론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여러 사례들도

소개하고 있는데 진화론이 여전히 진화 중이며 무한한 가능성이 있음을 잘 알 수 있었다.

이 책 한 권으로 진화론을 완벽히 이해할 수 있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그동안 막연하게만 알고 있던

진화론의 과거와 현재 및 미래의 모습까지 담아내 진화론의 매력을 맛볼 수 있게 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