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희 교수의 단짠단짠 세계사 - 문명과 경제로 읽는 음식 이야기
홍익희 지음 / 세종(세종서적)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 역사를 여러 가지 주제로 살펴보는 책들을 만나봤는데 음식을 주제로 한 책은 '음식으로 읽는 

로마사', '세계사를 바꾼 6가지 음료', '과일로 읽는 세계사' 정도를 꼽을 수 있다. 보통 특정 음식이나

특정 시대와 연관한 내용들을 다루는 책들이었는데 이 책은 인류 역사 전체를 통틀어 음식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차근차근 살펴보고 있어 과연 어떤 흥미로운 얘기들을 들려줄지 기대가 되었다.


먼저 선사시대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는데 혹독한 환경에서 생존 자체가 힘겨웠던 인류가 빙하기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갯벌 덕분이라고 한다. 굴과 조개류, 해조류로 인류가 생존할 수 있었는데 

특히 홍합에 주목한다. 얘기마다 관련된 음식 이야기를 뒷부분에 소개하는데 홍합 요리는 벨기에 

브뤼셀에 갔을 때 먹었던 기억을 떠올리게 해주었다. 채취 시대에는 콩이 수렵 시대에는 사슴고기가  

중요한 역할을 했고 개가 최초로 가축화되면서 목축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어업의 역사와 관련해선

고래고기를 다루는데 조선의 개항이 포경으로 인해 이루어졌다는 새로운 사실을 알려준다. 고대로

들어서면서 본격적인 농경생활을 시작하게 되는데 인류 최초의 작물인 밀을 필두로 보리, 포도, 무화과

나무, 석류, 올리브나무, 대추야자나무의 7가지 식물을 축복받은 식물로 소개한다. 알고 보니 성경에서

7가지 식물을 거론한 거였다. 포도와 관련해선 와인이 당연히 연결되는데 유럽에선 다른 사람 집에서 

여는 파티 등에 초대받으면 와인을 보통 가져가고 특히 상대방이 좋아하는 와인이나 생일이면 그 해의 

와인을 선물받는 게 큰 영광으로 여긴다고 한다. 너무 중요한 소금을 다룬 후 우리의 주식인 쌀이 드디어

등장하는데 쌀농사가 최초로 이루어진 곳이 중국이 아닌 우리나라였다는 놀라운 얘기도 들려준다.


중세도 소금으로 시작하는데 로마와 베네치아 같은 한때 세계를 주름잡던 곳들의 소금과 연관된 역사를

알 수 있었다. 술은 종교와 상극일 것 같지만 오히려 종교의식에 사용되었다. 특히 맥주는 수메르 신전의

제사용품이었다고 한다. 칭기즈칸의 몽골이 세계를 제패할 수 있었던 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전투

식량 덕분이었고 신대륙 발견의 일등공신이 된 후추 등 향신료와 대항해시대를 가능하게 만들어준

대구의 역할도 만나볼 수 있다. 네덜란드는 영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고도 육두구 산지 반다제도와

사탕수수 산지인 수리남의 소유권을 인정받는 대신 현재의 뉴욕인 뉴암스테르담을 영국에게 넘겨

주는 지금으로선 이해할 수 없는 치명적인 실수를 한다. 커피, 차 등 다른 책에서도 자주 다루는 친숙한

내용도 만나볼 수 있고 가장 최근의 음식이라 할 수 있는 햄버거패티, 피자는 물론 우리 음식 이야기로

라면, 빈대떡, 육개장과 관련된 내용까지 소개해 음식과 관련된 역사를 총망라했다고 볼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음식만큼 인간에게 중요한 게 없는데 상대적으로 음식을 주제로 한 역사 얘기가 소홀히 다뤄져

온 것 같다. 이 책은 그런 면에서 음식을 중심으로 인류 역사의 변천사를 흥미롭게 들려줘서 역사를 

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