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 여성작가 편 - 세계문학의 흐름으로 읽는 한국소설 10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이현우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 남성작가 편'은 사실상 복습을 한 거나 마찬가지였지만 여성작가 편은 초면이라

과연 어떤 작가의 어떤 작품이 선정되었을지 궁금했다. 어느 분야나 마찬가지지만 아직까지는 남성이 

더 사회활동을 많이 하다 보니 문학계도 그리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는데 남성작가 편이 12명을 선정한

반면 여성작가 편은 10명을 선정해 그래도 구색을 맞추기 위해 노력한 것 같았다.


1960년대 강신재의 '젊은 느티나무'를 필두로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전혜린의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1970년대 박완서의 '나목', 1980년대 오정희의 '유년의 뜰', 강석경의 '숲속의 방', 1990년대

공지영의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은희경의 '새의 선물', 2000년대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

2010년대 황정은의 '계속해보겠습니다'가 선정의 영광(?)을 안았다. 이 중에 교과서에서 봤던 '젊은

느티나무'와 '김약국의 딸들', 대학 다닐 때 교양수업 숙제(?)로 봤던 '숲속의 방', '엄마를 부탁해'는

읽어 본 작품이라 낯설지 않았는데 오정희나 황정은은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된 작가들이라 역시나

한국 여성작가들을 그리 잘 아는 편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젊은 느티나무'의 강신재도 이름만

봤을 때는 여자라고 생각을 못했는데 부모의 재혼으로 인해 강제로 남매가 된 여학생의 갈등을 다뤄

운명과 사랑 사이에서 갈등하는 근대적 인물을 그렸다는 평가를 하면서도 더 나아간 사랑 얘기를 담지

못한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흔히 박경리의 대표작은 '토지'를 꼽는데 저자는 '김약국의 딸들'을

다루면서 장사꾼들이 승승장구 하는 이야기인 근대적 서사를 그리지 않았다고 비판한다. 전혜린은

좀 의외의 인물이라 할 수 있는데 사실 제대로 된 소설을 쓴 적이 없음에도 전혜린이란 인물 자체의

상징성에 주목한다. 박완서에 대해선 속물적인 중산층 의식에 대한 해부를 특기라고 평가하고 오정희는

결혼 생활과 창작 활동을 병행한 첫 번째 작가로 여성작가의 롤 모델로서의 의미를 부여한다. 


강석경의 '숲속의 방'은 읽은 지가 20년이 훌쩍 넘어 이 책을 보면서 어렴풋한 기억의 실타래를 억지로

맞추었는데 1980년대 한국 사회의 쟁점이었던 이념 대립과 가치관의 혼란을 잘 보여주었다고 말한다.

공지영, 은희경, 신경숙을 여성작가 트로이카로 칭하는데, 공지영은 이른바 '후일담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은희경은 출판사 문학동네를 탄생시킨 간판작가로, 신경숙은 2000년대 이후 최고의 베스트

셀러 작가로 잘 나가던 시절이 있었지만 이 책에선 이런저런 한계를 지적받았고 지금 공지영, 신경숙은

여러 구설수로 과거의 명성은 빛이 바랜 상태라 할 수 있다. 가장 최근인 2010년대 작가로 선정된 

황정은은 이 책으로 처음 알게 된 작가인데 이 책에 소개된 내용만으로는 뭔가 신선한 느낌이 들진

않았다. 아무래도 여성작가들 작품을 많이 읽어보진 않아 뭐라 말하기는 어렵지만 여성이란 걸 굳이

내세워서 의미 부여를 하고 싶지는 않은데 그동안 잘 몰랐던 여성작가들의 문학계 내에서의 존재감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다. 이 책에 등장한 작가들과 작품들도 기회가 있으면 만나볼 수 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