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 남성작가 편 - 세계문학의 흐름으로 읽는 한국소설 12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이현우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라딘 서재에서 맹활약하는 로쟈님의 책은 작년 초에 '로쟈의 한국 현대문학 수업'을 만나봐서 낯설지

않은데 이번에는 남성작가 편과 여성작가 편으로 나눠 두 권으로 출간이 되었다. 작년에 만났던 책이

오로지 남성작가들의 작품만 다루었다면 이번에는 남녀로 나눠 좀 더 한국 현대문학을 제대로 정리하고

있다고 할 수 있었는데 남성작가 편은 사실 작년 책과 거의 동일한 내용이라 할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작년 책이 초판이고 이번에 나온 책이 개정판이 되었는데 가장 큰 변화는 1960년대 이후 한국 현대문학

으로 그 범위를 특정하다 보니 초판에 수록되었던 손창섭의 '비오는 날'이 빠지고 그 대신 이문구의

'관촌수필', 김원일의 '마당 깊은 집', 김훈의 '칼의 노래'가 추가되어 총 12권을 다루게 되었다.


새로 추가된 세 명의 작가와 작품 외에는 초판의 표현을 좀 더 정확하게 다듬고 착오를 바로잡는 수준의

개정만 한 거라 거의 복습이라 할 수 있었는데 초판을 읽은 지 약 1년 가까이가 되다 보니 벌써 기억이

가물가물해져서 다시 읽는 것이 무의미하진 않았다. 1960년대 세 편, 1970년대 네 편, 1980년데 세 편으로

주로 1980년대 이전 작품들이 주가 되었고, 1990년대와 2000년대는 각 한 편으로 구색만 갖추었다고

할 수 있는데 아무래도 최근 작품들은 아직 평가를 하기가 좀 이른 측면이 있을 것 같다. 아무래도 저자가

한국문학이 전공이 아니고 러시아문학을 비롯한 서양문학이 전공이다 보니 기존에 한국문학에 대한

평가와는 약간은 다른 관점에서 접근한다. 특히 단편보다는 장편에 대한 확실한 선호가 있다 보니 이

책에서 다뤄지는 대부분의 작가들이 시대를 반영하는 제대로 된 장편을 써내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게

된다. 이 책에서 다루는 작품들을 읽은 상태에서 이 책을 읽으면 훨씬 더 이해가 되었을 것 같은데

제대로 읽은 책이 그리 많지 않다 보니 저자의 비평에 대한 판단을 하기는 쉽지 않았다. 황석영, 이문열의

경우 제대로 된 장편으로 나갈 수 있는 시점에 역사소설(황석영의 '장길산')이나 중국고전 번역(이문열의

'삼국지', '초한지')이라는 외도를 하면서 한국 현대문학이 좀 더 나아가지 못한 아쉬움을 드러내는데

그러고 보니 조정래가 이 책에서 다뤄지지 않은 것도 역시 저자의 관점에선 그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볼 수 없다고 보았기 때문인 것 같다(저자는 대하소설류는 그다지 인정하지 않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일반 대중의 입장에서 이 책을 읽다 보면 한국 현대문학의 흐름이 대략이나마 그려지면서도 문학

비평의 관점에서 아쉬운 부분들이 뭔지를 알 수 있었다. 사실 문학 전문가가 아닌 입장에서야 여러

문학 이론적 평가를 하는 것은 '이렇게 볼 수도 있구나' 하며 잘 몰랐던 측면을 살펴보는 의미가 있지만

그보다는 작가와 작품과 관련한 몰랐던 여러 얘기들을 새롭게 알게 되는 재미가 나름 솔솔했다. 저자가

대중교양서로 집필한 책이지만 그럼에도 좀 전문적인 내용이 적지 않아 술술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

었지만 이 책에 소개된 책들을 찾아 읽어보면 저자의 얘기에 좀 더 이해와 공감을 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