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력 코드 - 인공 지능은 왜 바흐의 음악을 듣는가?
마커스 드 사토이 지음, 박유진 옮김 / 북라이프 / 2020년 7월
평점 :
품절


코로나 유행 이전에 가장 핫한 주제는 인공지능이 인류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 것인지 여부가 아니었나 

싶다. 그래서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 '로봇 시대, 인간의 일' 등 인공지능과 관련한 여러 책들을 읽곤 했는데, 이 책에선 인공지능이 인간의 고유한 분야라고 여겨지는 창조력이 필요한 예술 등에서도

인간을 대체할 수 있는지에 대해 수학자의 관점에서 흥미로운 얘기를 들려준다.


먼저 창조력이 과연 무엇인지 정의하는 것이 쉽지 않은데 이 책에선 창조력을 새롭고, 놀라우며, 가치 

있는 무언가를 내놓고자 하는 충동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면서 새로운 인공지능을 극한까지 밀어붙여

그것이 우리 인간 코드의 경이로움과 맞먹거나 이를 뛰어넘을 수 있는지 다양한 분야들을 살펴보는데

얼마 전에 봤던 '있어빌리티 교양수업 : 역사 속 위대한 여성'에서 책 표지를 장식한 최초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든 에이다 러브레이스를 소환해서 알고리즘이 정말 창조적인 무언가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러브레이스 테스트'를 시작한다. 마거릿 보든은 인간의 창조력을 탐구적 창조력, 

접목적 창조력, 변혁적 창조력의 세 가지로 분류했는데, 창조력도 학습이 가능한 것인지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며 우리에게 친숙한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결을 소개한다. 비교적 단순한 체스에 비해

수가 무궁무진한 바둑에서 인공지능이 인간을 이기려면 오랜 시간이 걸릴 거라는 예상을 뒤엎고 

알파고가 이세돌을 4대 1로 격파했을 때 세계가 받은 충격은 적지 않았다. 이 책에선 알파고가

탄생하기까지의 과정과 이세돌과의 다섯 번의 대결을 자세히 소개하는데 인공지능이 어디까지 나갈 

수 있는지를 보여주면서 한계도 있음을 알려주었다. 기존의 알고리즘은 가지고 있는 정보만 활용한

것이라면 새로운 종류의 알고리즘은 학습 능력을 가지고 있어 데이터와 상호 작용하면서 적응과 

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스스로 진화할 수 있어 과연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를 여러 분야들을 통해

검토한다. 넷플릭스의 영화 추천 알고리즘 대회를 비롯해 음악과 미술 등 알고리즘으로는 도저히 

극복할 수 없는 영역까지 다루고 있는데 기존에 만들어진 작품들과 유사한 창조물들은 충분히 인공

지능이 만들어낼 수 있음을 선보였지만 기존의 작품들을 초월한 새로운 작품을 창조하는 것엔 아무래도

한계가 있고 저자의 전문 분야인 수학에서도 난제들에 대한 증명이라는 걸 해내기엔 아직 역부족

이라 할 수 있었다. 이 책을 통해 알고리즘을 통한 인공지능의 발전이 어느 단계에까지 이르렀는지

충분히 알 수 있었는데 창조력이란 관점에서 볼 때 인공지능이 상당한 정도에 이른 것은 사실이지만

오랜 세월에 걸쳐 이룩한 인간의 창조력에 걸맞는 수준에 이르기 위해선 인간과 인공지능이 서로 잘

이해해야 함을 잘 보여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