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벤져스: 엔드게임

감독
안소니 루소, 조 루소
출연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크리스 에반스, 크리스 헴스워스, 마크 러팔로, 스칼렛 요한슨, 제레미 레너, 폴 러드, 돈 ...
개봉
2019.04.24. 미국
평점

리뷰보기

 

(약한 스포를 포함합니다.)

 영화를 몇일 전에 미리 예매하고 보는 건 오랜만이었습니다. 그만큼 기다렸고 기대가 컸던 영화였습니다. 마블은 배신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기대가 컸던만큼 아쉬움도 컸습니다. 

 유튜브에 지금까지 개봉한 마블영화 21편을 요약한 영상이 있어서 봤습니다. <토르 2 다크월드> 빼곤 다 봤더군요. (그래서 어제 <토르 2 다크월드>를 봤습니다. 후기는 다음에) 마블영화 편들에게는 <어벤져스: 엔드게임>이 분명 감사하고 선물같은 영화였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오랜만에 몰입이 잘 되지 않았던 마블 영화 중 하나였습니다. 

 저는 크게 두 가지 부분에서 영화에 몰입하지 못했습니다. 첫번째는 우연적 요소가 너무 많고 몇몇 부분에서 작위적인 요소가 눈에 띄었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영화가 모든 스토리를 세 시간에 담아내기에는 너무 타이트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일단 시간여행이 너무 쉽게 이루어졌습니다. 양자영역을 통해 시간여행이라. 뭐 영화니까 그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언맨이 처음에 시간여행은 불가능하다고 이야기했었는데 어느 날 밤 갑자기 시뮬레이션 한 번 훅 해보더니 '유레카' 하고 시간여행의 비밀을 풀어버립니다. 시간여행 도중에도 아이언맨과 캡틴 아메리카가 함께 시간여행을 하는데 아이언맨은 우연히 자신의 아버지를 만나고 캡틴 아메리카는 우연히 자신의 옛 연인을 만납니다. 뭐 영화니깐 그럴 수도 있겠죠. 문제는 이런 우연적 요소, 극적 요소가 너무 남발되면 영화가 현실이 아닌 영화로 받아들여져 버립니다. ​아무리 영화가 허구적 세계, 이야기를 다루지만 그 안에는 진실성이 갖춰져있어야 합니다. 떨어지면 다치고 생명은 하나여야 합니다. 비현실적 요소들이 반드시 현실성을 갖춰야합니다. 인과율, 기본적인 물리학 법칙들을 개연성없이 함부로 위반하면 안됩니다. 허구의 세계는 우리가 이해하는 현실세계와 크게 다르지 않아야 합니다. 저는 이런 부분에서 아쉬웠습니다. 이런 부분이 몰입을 방해했습니다. 

 두번째는 인물들의 감정선을 따라가지 못했고 공감하지 못했습니다. 영화는 주인공들이 사랑하는 사람들을 잃은 5년 후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갑자기 5년을 점프하고 보니 인물들은 괴로워하고 힘들어하는데 크게 공감이 가지 않았습니다. 5년이 지났는 데도 마치 방금 전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듯한 주인공들의 모습에 공감하지 못했습니다. 이건 영화의 문제일수도 제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아쉬움이 컸지만 그래도 기다렸던 영웅들을 만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특히나 가장 좋았던 장면은 캡틴 아메리카가 토르의 망치를 휘두르면 싸우는 모습이었습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영웅은 캡틴 아메리카 같습니다. 멋졌습니다. 타노스도 비롯 잘못된 신념이긴 하지만 한결같은 모습을 갖춘 강한 빌런이었습니다. 빌런이란 무릇 압도적으로 강하고 가치관이 뚜렷해야합니다. 

 이 영화를 보기 전에 픽사 애니메이션들을 봤는데 모두 너무 좋은 영화들이었습니다. 제 역치, 기대치가 너무 높았던 부분도 있는 거 같습니다. 역시 영화는 아무 기대없이 봐야 재밌습니다. 무릇 세상 모든 일들이 그렇겠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평점 8

 감독 연상호

 출연 공유, 정유미, 마동석, 김수안, 김의성 

 장르 액션, 스릴러, 좀비



 <부산행>은 심심할 때 보려고 아껴뒀던 영화입니다. 개봉할 때는 괜한 자존심에 안봤습니다. <부산행>은 흥행하고 있었지만 그 흥행이 작품성보다는 홍보나 마케팅, 배우 빨 등등으로 만들어졌을 거라 생각하고(아주 틀린 말은 아니겠지만) 굳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본 사람들 평이 괜찮아서 나중에 봐야지 하고 생각했던 영화였습니다.


 일단 역시 공유, 역시 마동석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유미씨의 연기도 좋았습니다. 특히나 김의성씨의 연기가 예상외로 좋았습니다. 진짜 암을 유발하는 연기를 아주 잘하시더군요. 실감나는 연기였습니다. '진짜 연기는 연기처럼 보이지 않는다' 는 말이 있습니다. 그의 연기는 연기처럼 보이지 않았습니다. 극한 상황에서 살고 싶어하고 이기적으로 변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대로 드러냈습니다. 그의 연기에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옥의티라면 역시나 안소희양이었습니다. 안소희씨를 볼 때마다 몰입이 깨지더군요. 아쉬웠습니다. 


 영화가 예상외로 스릴넘치고 재밌었습니다. 좀비들의 추격, 인간군상들의 모습, 주인공의 내적변화, 희생과 사랑 등의 요소들이 잘 표현되었습니다. 공유의 열연뿐만 아니라 마동석의 감초연기가 영화를 잘 리드했습니다. 


 연상호 감독님은 애니메이션 전문 감독님이신데 부산행으로 처음 일반 영화를 찍으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신인감독상도 타시고 흥행에 성공하셔서 <염력>을 찍으셨는데... <염력>은 저는 피했지만 피하지 못하신 분들은 대노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염력>을 보진 못했지만 <부산행>만 봤을 때는 좋은 감독, 앞으로 기대가 되는 감독님인데 앞으로 기회가 없을까봐 안타깝습니다. 영화계에서는 신인 감독에게 한 번의 실패는 극복하기 힘들다고 들었습니다. 


 <부산행>도 그렇고 <염력>도 그렇고 역시 만화스러운 상상력이 돋보이는 작품들입니다. 덕분에 한국형 좀비물을 봐서 신선했습니다. 보기에 큰 무리없는 추천할만한 영화입니다. 


 최근에 본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의 <스킨 인 더 게임>에 나오는 문구가 떠오르는 영화였습니다. 희생없이는 사랑도 없다. 동의하지 않기가 힘든 문구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평점 7

 감독 이호재

 출연 박용하, 김민정, 박희순, 김무열, 조덕현

 장르 범죄, 스릴러, 코디미, 드라마



 주식하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보면 좋을 영화입니다. 저는 과거에 멋 모르고 주식을 했습니다. 현재는 몇 년째 팔기만하지 사지는 않고 있습니다. 강제적 장기투자 상태입니다. 언젠가 탈출할 수 있기를 꿈꾸고 있습니다. 

 저희 어머님도 주식을 하시는데 옆에서 보는 제 입장에서는 불안합니다. 그래서 이 영하를 같이 보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어머님은 금새 꾸벅꾸벅 조시더니 일찍 잠자리에 들어가셨습니다. 그래서 그냥 저 혼자 봤습니다. 생각보다 재밌어서 끝까지 봤습니다. 적당히 보고 자려고 했는데 말입니다. 


 일단 배우들 연기가 괜찮습니다. 특히나 박희순 연기가 인상적입니다. 김민정님은 존재 자체가 아름다우십니다. 주연, 조연 할 거 없이 배우들 연기가 괜찮았습니다. 초반은 조금 지루했지만 갈수록 재밌었습니다.  


 포스터를 보니 주인공이 가장 뒤에 있네요. 존재감은 확실히 김민정, 박희순이 영화에서도 더 컸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19-05-08 15: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게 주식에 관한 영화였군요.
요즘<돈>이란 영화가 있잖아요. 겸해서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사실 주식하면 잃을 거란 불안을 가지고 있잖아요.
외국은 어렸을 때부터 교육용으로 쓴다는데.
저도 주식으로 재미봤다는 사람을 본적이 없는지라 불안한 생각부터 가지고 있습니다.ㅋ

박용하는 좀 아까운 배우인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론 좋아하지 않지만 그래도 나름 배우로서 입지를 쌓아나가던 중에 그리되서...ㅠ

고양이라디오 2019-05-08 19:31   좋아요 1 | URL
맙소사.. 박용하씨가 자살했었군요. 방금 검색해서 알았습니다. 안타깝네요ㅠ

무주식이 상팔자입니다ㅎ
그래도 인덱스펀드나 우량주는 좋다고 생각합니다ㅎ
 



 평점 7.5

 감독 피트 닥터, 데이빗 실버맨, 리 언크리치

 장르 애니메이션, 가족, 모험, 판타지, 코미디




 두 가지 점에서 아쉬웠던 영화입니다. 일단 <몬스터대학교>를 먼저 보고 봐서 <몬스터 주식회사>의 그래픽이 많이 뒤떨어져보였습니다. 그래서 처음에 어색했습니다. 보면서 점차 적응이 됐지만요. 

 두번째로 굉장히 피곤한 상태로 영화를 봤습니다. 주말에 봤는데 피곤해서 자려다가 잠이 안와서 영화를 봤는데 영화를 보다보니 피곤했습니다. 피곤한 상태로 보니 영화에 몰입이 잘 안됐습니다. 여자친구와 같이봐서 중간에 끊기가 애매했습니다.


 재밌었습니다. 여자친구는 <몬스터 대학교>보다 더 재밌다고 했습니다. 영화에 나오는 아이도 귀엽고 스토리도 나쁘지 않고 괜찮았습니다. 피곤한 상태로 제대로 된 감상을 못한 거 같아서 더는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평점 9.5

  감독 리 언크리치

  출연 통 행크스(우디), 팀 알렌(버즈 라이트), 조앤 쿠삭(제시)

  장르 애니메이션, 모험, 코미디, 가족, 판타지



 개인적으로 9.5점 이상을 주는 작품들은 꼭 봐야할 영화, 죽기 전에 안 보면 후회했을 영화들입니다. <토이스토리3>는 제게 그런 영화였습니다. 


 아마 중학생 때 였을 거 같은데 <토이스토리 1>을 영화관에서 처음봤을 때가 생각납니다. 3D애니메이션을 처음으로 봐서 신기하고 재밌었습니다. 어릴 때라 그냥 아무 생각없이 봤던 거 같습니다. 우디와 버즈가 서로 대립하다 결국 친구가 되는 그런 스토리였던 거 같습니다. <토이스토리 2>를 봤는데 1보다 재미없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토이스토리 3>는 보지 않았었습니다. 애들이 영화를 뭘 알겠습니까? 그러다 픽사, 디즈니 사장 에드 켓멀이 쓴 책 <창의성을 지휘하라>를 재밌게 보고 픽사, 디즈니 영화들을 이어서 보고 있습니다. 안보고 놓친 재밌는 영화들이 참 많습니다.


 <토이스토리 3>는 큰 기대없이 봤습니다. 그런데 웬 걸 영화 초반부터 바로 매료됐습니다. 스펙터클한 초반부와 감동적인 스토리까지 정말 흠잡을 데 없이 좋았습니다. 어린 시절 동심을 자극하는 영화였습니다.


 저도 어릴 때 참 장난감을 좋아했습니다. 혼자서 장난감을 가지고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놀았습니다. 그 당시에 어린아이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재밌는 스토리들로 장난감들을 가지고 놀았습니다. 영화를 보며 그 장난감들이 생각났습니다. 그 장난감들에게 만약 인격이 있다면 과연 행복했을까? 그 장난감들은 언제 어떻게 버려졌을까? 


 어린아이는 부지불식간에 어른이 됩니다. 장난감을 가지고 놀던 아이가 언제가부터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지 않습니다. 잘 기억은 나지 않습니다만 아마 컴퓨터를 가지고 놀고 친구들과 어울려 놀면서부터 장난감과 멀어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토이스토리 3>는 우디와 친구들, 그리고 우디와 우디의 주인 앤디의 우정이야기입니다. 가슴 찡한 드라마입니다. 이영화 추천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