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읽은 양자물리학 책 중에 최고였다. 깊이가 있고 양자역학에 관한 다양한 관점들을 소개해주고 해석해준다. 책을 다 읽고보니 저자가 양자물리학에서 세계적인 과학자였고 2022년 노벨상을 수상했다. 




 그러므로 일상과 고전물리학 속의 우연은 겉보기 우연이다. 독일 물리학자 하이젠베르크는 그것을 '주관적' 우연이라고 표현했다. 그 표현이 의미하는 것은, 어떤 특정한 사건이 순전히 우연적인 것으로 보이는 이유가 오직 우리의 일시적인 무지에, 즉 주관적인 무지에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그 사건에는 잘 정의된 원인이 있다. -p55



 겉보기 우연, 주관적 우연 이란 표현이 참 직관적이고 멋진 표현이라 생각된다. 우리가 일상 속에서 경험하는 우연은 실제로는 우연이 아닌 필연이다. 해외에서 아는 누군가를 만났을 때 우리는 우연이라 표현하지만 원인을 따져보면 같은 장소, 같은 시간에 만날 수 밖에 없는 원인이 반드시 존재한다. 하지만 양자역학에서 말하는 우연은 객관적인 우연이다. 원인이 없다는 것을 지지하는 증거들이 있고 대부분의 과학자가 그것이 자연의 본질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은 일생 동안 우연이 양자물리학에서 하는 역할을 못마땅하게 여겼다. 그의 유명한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 라는 말로 표현했다. 그래서 우리가 모르는 숨은 변수가 있을 거라고 추측했다. 아인슈타인은 양자물리학에서의 우연을 객관적 우연을 인정하지 않고 우리의 무지에서 비롯된 주관적 우연으로 받아들였다. 저자는 이 점을 이 책의 말미에서 정보의 관점에서 설득력 있게 설명한다. 


 

 이것은 5천 년 전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사이에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살던 세금징수관이 했을 법한 말이다. 그 지역은 오늘날의 이라크 지방으로 우리가 아는 바에 따르면 문명의 요람이 된 곳이다. 인류는 그곳에서 최초로, 최소한 입증할 수 있는 한계 내에서는 최초로, 오늘날 고고학적 유물을 통해 알 수 있는 형태로 수를 사용했다. 도시들로 이루어진 조직화된 국가가 등장하면서 수를 사용하는 일은 필수가 되었다. -p173 

 

 위 글은 독서모임에서 수학과 수의 기원에 대해 이야기했던 것을 떠올리게 했다. 수와 사칙연산을 이해하는 동물들도 있는 것을 볼 때, 진화적으로도 수와 수학을 이해하게끔 뇌가 발달한 거 같다. 수의 개념 역시 자연의 본질이고 생존에 필요한 도구이기도 하다. 



 "자연법칙들은 실재와 정보를 구분하지 않아야 한다." -p274


 "정보는 우주의 근원 재료이다." -p275


 "실재와 정보는 동일하다." -p290 

 

 저자는 양자물리학을 정보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보여준다. 어렵긴 하지만 설득력이 있다. 글을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시뮬레이션 우주론이 떠오른다. 시뮬레이션 우주론이란 우리의 우주가 실은 컴퓨터가 구현해낸 시뮬레이션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0과 1로만 이루어진 정보의 세계는 양자물리학과 유사한 점이 분명 있다. 실재와 정보가 동일하고 구분할 수 없는 것이라면 원리적으로 우주를 시뮬레이션으로 구성하지 못할 이유는 없다. 

  

 

 양자물리학에 관심 있으이 많으신 분들께 강추드리고 싶은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꼬마요정 2023-11-06 21: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책 엄청 어렵다고 하던데 고양이라디오 님 대단하십니다. 노벨상 수상자들 책 한 번씩 올라오면 관심이 가는데 문제는 어렵다는 거죠. ㅋㅋ 아인슈타인이 코펜하겐 해석으로 닐 보어랑 논쟁한 것도 다 이 우연 때문이죠? 어려워요 어려워요 ㅎㅎㅎ

고양이라디오 2023-11-07 10:15   좋아요 1 | URL
관련 책들을 몇 권 읽어서 그냥 대충 어렴풋이 아는 정도입니다. 느낌적인 느낌만ㅎㅎ

네, 다 우연 때문입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