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2.9.


《조선 처녀의 춤》

 마쓰다 도키코 글/김정훈 옮김, 범우사, 2021.5.10.



헬렐레 하면서 하루를 보낸다. 이튿날이 설날이라는데, 시골집에서 조용히 지낼 셈이었는데, 그야말로 푹 쓰러져서 먹지도 마시지도 않는다. 누우며 끙끙거리고, 몸을 돌리며 아이고 아이고 하고, 살짝 일어나 마당에 서고서 숨돌리고, 다시 드러누워 꿈누리로 간다. 앓을 적에는 어떤 일도 할 수 없다. 앓을 적에는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모두 샅샅이 훑으면서 이 몸을 새롭게 그린다. 앓으면서 무엇을 알고 싶은지 되새긴다. 앓으면서 무엇을 보고 느끼며 품을는지 생각한다. 《조선 처녀의 춤》을 읽었다. 옮김말이 몹시 아쉽다. 싸움판에 미친 일본을 나무라면서, 수수한 살림순이하고 일순이가 깨어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노래인데, 이런 노래를 ‘먹물말(지식인 일본 한자말)’로 범벅을 해놓으면 어쩌나? 곰곰이 돌아본다. 숱한 글바치는 집안일을 안 한다. 글을 짓건 옮기건, 아이를 돌보는 하루를 보내는 이는 드물다. 어린이 눈높이로 글을 안 써버릇하는 분이 많다. 한 해에 책 한 자락 읽을 겨를이 없는 이웃이 쉽게 누릴 만한 글결을 살리는 분이 드물다. 수수하게 짓는 살림을 수수하게 마음에 담고, 이 마음을 소리로 옮기니 말이다. 살림꾼으로 살지 않으면 살림말을 모른다. 먹물말로 휩쓸린 글바치는 시커먼 마음으로 치닫는다.


#松田解子 #乳を売る #朝の霧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2.8.


《셰어하우스 별사탕 키타센주 1》

 후지모토 유키 글·그림/정은 옮김, 대원씨아이, 2023.1.15.



몸살이 난다. 그래도 저잣마실을 한다. 쉬엄쉬엄 몸을 푼다. 작은아이한테 등을 두들겨달라고 얘기한다. 작은아이는 173치까지 키가 자랐다. 하루하루 껑충 크고 발도 큰다. 어깨는 아직 좁다. 오늘 저녁에는 한나절쯤 앓아눕고 난 뒤에 아이들한테 ‘아프다·앓다’가 어떻게 다른 말인지 들려주고서, ‘알다·알’하고 어떻게 잇닿는지 짚는다. 목이 아프기에 천천히 들려주는데, 큰아이는 “사람들이 말이 어떻게 태어나고 흐르는지 알면 다 즐겁게 깨어날 텐데, 말을 제대로 배우지 못 하니 깨어나지 못 할 듯해요.” 하고 얘기한다. 《셰어하우스 별사탕 키타센주 1》를 읽었다. 두걸음으로 단출히 맺는데, 서넛이나 대여섯까지 더 그려도 될 만했는데 일찍 마친 듯싶다. 풀어낼 줄거리가 더 있는데 서둘러 마감했네. 모둠집에서 마음을 나누면서 새롭게 하루를 여는 길을 상냥하면서 착하게 들려준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렇게 살림살이를 수수하게 여미고 펼치는 글이나 그림이 드물다. 아직 멀었을까? 아니면 마음이 안 닿을까? 이런 웃사내질이나 저런 꼰대질이 얄궂다고 까는 글이나 그림은 넘치는데, 이제는 바꿀 노릇이다. 사랑으로 빚는 하루에 사랑으로 살림하는 오늘을 속삭이는 글이나 그림을 지을 적에 비로소 온누리가 깨어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2.7.


《무명의 말들》

 후지이 다케시 글, 포도밭, 2018.12.21.



간밤에 ‘별빛 목소리’를 들었다. “너희 스스로 푸르게 되새기면서 새롭게 배울 이야기를 온몸으로 겪고 나면, 이 이야기를 틈틈이 돌아볼 적마다 너희 스스로 예전 앙금·생채기·멍울을 모두 포근하게 녹이고 풀어낸단다.” 자다가 들은 목소리에 눈을 번쩍 떴다. 한밤이다. 모두 꿈나라에 있다. 아침이 밝기까지 기다리고서 곁님하고 아이들한테 이 목소리를 옮겨서 들려준다. 낮에 두바퀴를 달려서 면소재지 나래터를 다녀온다. 새로 선보인 《우리말꽃》을 책숲 이웃님한테 마저 부친다. 《무명의 말들》을 읽었다. 일본사람으로서 한말을 꽤 할 줄 아는구나 싶고, 무턱대고 어느 켠을 미는 길은 아니라고 느낀다. ‘저들만 사달이지 않다’는 목소리를 내는 이 나라 글바치가 얼마나 되는지 돌아본다. 갈수록 줄고, 나날이 자취를 감춘다. 다만, 글결은 아쉽다. 이녁한테 익숙한 일본 한자말이 아닌, 쉬운 한겨레말을 익히려고 마음을 기울여 본다면 글빛이 확 다르리라. 우리는 ‘말들’처럼 안 쓴다. ‘말·마음·글’이나 ‘구름·비·물’은 낱으로 쓴다. 더구나 “무명의 말들”은 무늬는 한글이되 일본말씨이다. “이름없는 말”이나 “조용히 말하다”나 “낮게 말하다”나 “들풀 목소리”처럼 “수수한 말”을 볼 수 있기를 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2.6.


《그렇게 삶은 차곡차곡》

 사카베 히토미 글, 웃는돌고래, 2017.10.12.



빨래를 해놓고서 책꾸러미를 싼다. 나래터를 다녀온다. 어젯밤 고흥으로 돌아오고서 느긋이 안 쉰 채 바로 여러 일을 하노라니 등허리에 종아리가 욱씬욱씬하다. 저녁에 이르러 하늘이 갠다. 별이 와락 쏟아진다. 일찌감치 드러눕는데, 작은아이가 책을 읽다가 못 알아들은 ‘볼일’이라는 우리말을 풀어내어 알려준다. ‘본일·보는일·볼일’처럼 우리말은 받침 하나로 때매김을 바꾸는 얼거리를 들려준다. “먹은 밥·먹는 밥·먹을 밥”처럼 받침으로 뜻이며 결이 다른 보기를 나란히 이야기한다. 《그렇게 삶은 차곡차곡》을 몇 해 앞서 읽었다. 책이름처럼 삶을 그대로 차곡차곡 담으면 넉넉할 텐데, 조금씩 엇나간다고 느낀다. 잘 보이지 않아도 되고, 잘 하려고 용쓰지 않아도 된다. 아이하고 누리는 하루는 가장 뛰어나거나 훌륭하거나 멋진 나날이어야 하지 않다. 수수하게 아이하고 노래하고 놀고 얘기하고 생각을 주고받으면 넉넉하다. 어버이라면 좀 멈춰서 생각해 보자. 아이가 ‘서울에 있는 대학교’에 들어가야 앞날이 환하거나 즐겁겠는가? 아이가 ‘스스로 삶을 짓고 살림을 가꾸며 웃고 노래하는 하루를 이 보금자리에서 펼’ 적에 반짝이면서 즐겁겠는가? 아이 곁에서 어버이도 꿈을 그려야 함께 자라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2.5.


《흙투성이 엘레나 공주 1》

 하루미 히츠지 글·그림/나민형 옮김, 학산문화사, 2023.5.23.



‘나’를 바꿀 수 있는 사람은 ‘나’이다. ‘너’는 ‘네’가 바꾼다. 우리가 서로 들려주는 말로는 하나도 못 바꾼다. 누구나 스스로 마음을 움직여야 그자리에서 바로 바꾼다. 아이들 이모네로 건너간다. 한 뼘 자란 조카들을 본다. 보고 듣고 어울리다가 움직인다. 17:30 시외버스를 타야 하기에 14:30부터 움직인다. 아직 이른낮에 버스를 탔기 때문인지 서울에 일찍 들어섰고, 조금 짬이 있기에 〈숨어있는 책〉에 큰아이하고 들른다. 열일곱 살로 자란 큰아이를 본 책집지기님은 예전 모습을 떠올리고, 큰아이도 아기일 적부터 찾아온 이곳을 어렴풋이 되새긴다. 자, 이제는 우리 집으로 돌아가자. 《흙투성이 엘레나 공주 1》를 읽었고 두걸음도 읽었다. 밭일을 즐기는 꽃순이를 다루는 줄거리는 안 나쁘되, 그림님이 팔랑치마를 자꾸 그리고 싶어하는지, 영 이야기가 앞으로 못 뻗는다. 밀당을 벌이는 짝사랑을 그리는 길은 안 나쁘지만, ‘흙투성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흐르는 살림살이는 엉성하고 어설프고 뜬금없다. 그림꽃 하나에 너무 많이 바라는 셈인가 싶다. 갈피를 못 잡고 헤매는 얼거리라면 이제 그만 읽어야지. 옷자락과 얼굴을 이쁘게 그리려고 품을 들이지만, 풀과 흙과 나무와 꽃은 설렁설렁 그리니, 하나도 안 볼 만하다.


#土かぶりのエレナ姬 #晴海ひつじ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