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영어] 도슨트docent



도슨트 : x

docent : 1. (대학에서 정규 교수가 아닌) 강사 2. (박물관 등의) 안내원

ド-セント(docent) : 도슨트, 박물관·미술관 등에서 관람객들에게 전시물에 대해 설명하는 안내인

 


한동안 한자말로 ‘안내원’이라 하더니, 이제는 영어로 ‘docent’를 쓰는구나 싶습니다. 한자말과 영어 사이에 우리말은 낄 틈이 없구나 싶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말로 ‘가르치다·갈치다’나 ‘길불·길빛·길잡이·길라잡이·길앞잡이’나 ‘길잡님·길님·길잡이불·길잡이빛·길눈이’라 할 만합니다. ‘끌다·끌고 가다·끌어가다·끌힘’이나 ‘이끌다·이끎이·이끎빛·이끎지기’라 할 수 있어요. ‘알림길·알림이·알림빛·알림지기·알림꽃’이라 할 만하지요. ‘키·키잡이·키질’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열린길잡이·열린길빛’이나 ‘마음길님·마음꽃님·마음밭님’이나 ‘불빛·불빛줄기·빛줄기·횃불’처럼 여러모로 새롭게 헤아릴 만합니다. ㅍㄹㄴ



도슨트로 일하면서 청소년 관람객을 만나는 일은 흔하지 않습니다

→ 길잡이로 일하면서 푸른손님을 만나기란 쉽지 않습니다

→ 키잡이로 일하면서 푸름이을 만나기란 어렵습니다

《미래 세대를 위한 자연사 이야기》(신나미, 철수와영희, 2025) 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781 : 부모님 것 중 자신들 게 거


나를 낳고 부모님이 뼈저리게 느낀 것 중 하나는 자신들이 모르는 게 많다는 거였다

→ 나를 낳은 두 분은 너무 모르는 줄 뼈저리게 느꼈단다

→ 엄마아빠는 나를 낳고서 너무 몰랐다고 뼈저리게 느꼈단다

《두근두근 내 인생》(김애란, 창비, 2011) 59쪽


짤막하게 쓰는 글에 ‘것’을 세 군데나 넣으면 몹시 얄궂습니다. 있는 대로 늘어뜨리는 군더더기 말씨이기도 합니다. 첫머리에 ‘나’를 먼저 놓고 싶다면, “나를 낳은 두 분은”으로 다듬고, ‘엄마아빠·어버이’를 먼저 놓고 싶다면, “엄마아빠는 나를 낳고서”로 다듬습니다. “-ㄴ 것 중 하나”는 잘못 쓰는 옮김말씨예요. 옮김말씨를 잘못 쓰느라 끝자락에 “-ㄴ 게 많다는 거였다”처럼 ‘것’을 잇달아 붙이고 말아요. “엄마아빠는 + 나를 낳고서 + 너무 몰랐다고 + 뼈저리게 느꼈단다”처럼, 임자말과 몸말(줄거리)과 맺음말이라는 얼거리로 수수하게 쓸 노릇입니다. ㅍㄹㄴ


부모(父母) : 아버지와 어머니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이인

중(中) : [의존명사] 1. 여럿의 가운데 2. 무엇을 하는 동안 3. 어떤 상태에 있는 동안 4. 어떤 시간의 한계를 넘지 않는 동안 5. 안이나 속

자신(自身) : 1. 그 사람의 몸 또는 바로 그 사람을 이르는 말 ≒ 기신(己身) 2. 다름이 아니고 앞에서 가리킨 바로 그 사람임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782 : 부모 부모의 가질


부모는 왜 어려도 부모의 얼굴을 가질까

→ 어버이는 왜 어려도 어버이 얼굴일까

→ 엄마아빠는 왜 어려도 엄마아빠일까

《두근두근 내 인생》(김애란, 창비, 2011) 77쪽


우리말에는 “얼굴을 가지다”가 없습니다. 그냥 옮김말씨입니다. 우리말은 “얼굴이다”입니다. 또는 “웃는 얼굴을 짓는다”나 “우는 얼굴을 한다”처럼 ‘짓다·하다’를 보태어 결을 살짝 넓힙니다. 아이를 낳은 사람은 ‘어버이’예요. ‘엄마아빠’라고도 합니다. 우리말 ‘어버이·엄마아빠’는 순이(어머니·엄마)를 앞에 놓습니다. ㅍㄹㄴ


부모(父母) : 아버지와 어머니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이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783 : 도망 시작 -여 있 사실 -ㅁ -ㅁ을 느꼈


나는 내가 도망치려 했던 시작이 다시 내 앞에 놓여 있다는 사실에 설렘과 두려움을 느꼈다

→ 나는 내가 달아나려 하던 처음이 다시 내 앞에 놓였기에 설레면서 두려웠다

→ 나는 내가 놓으려 하던 첫걸음이 다시 내 앞에 있기에 설레고 두려웠다

→ 나는 처음부터 달아나려 했지만 다시 내 앞에 나타났기에 설레며 두려웠다

《두근두근 내 인생》(김애란, 창비, 2011) 221쪽


첫머리 “내가 도망치려 했던 시작이”는 매우 엉성합니다. “내가 달아나려 하던 처음이”로 손보더라도 우리말 같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나는 처음부터 달아나려 했지만”으로 더 손보아야 우리말 같습니다. “놓여 있다는 사실에”는 옮김말씨예요. “놓였기에”나 “있기에”로 바로잡습니다. “설렘과 두려움을 느꼈다”도 옮김말씨입니다. “설레고 두려웠다”라든지 “설레며 두려웠다”로 고쳐씁니다. ㅍㄹㄴ


도망(逃亡) : 피하거나 쫓기어 달아남

시작(始作) : 어떤 일이나 행동의 처음 단계를 이루거나 그렇게 하게 함. 또는 그 단계

사실(事實) : 1. 실제로 있었던 일이나 현재에 있는 일 2.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한 일을 솔직하게 말할 때 쓰는 말 3. 자신의 말이 옳다고 강조할 때 쓰는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784 : 군 제일 -들 인사 나누 안부 것


김 군이 제일 먼저 하는 일은 꽃들과 눈인사를 나누고 밤사이 안부를 살피는 것이었다

→ 김씨는 맨 먼저 꽃이랑 눈웃음을 짓고서 밤사이 잘 잤느냐고 묻는다

→ 김씨는 먼저 꽃하고 눈짓을 하고서 밤사이 잘 지냈는지 살핀다

《꽃에 미친 김군》(김동성, 보림, 2025) 12쪽


사람을 가리킬 적에는 ‘씨’를 붙입니다. ‘님’을 붙여도 되고요. 맨 먼저 꽃하고 눈짓을 한다면, 이 눈짓은 눈웃음이기도 합니다. 밤사이 잘 지냈는지 묻습니다. 어떻게 보냈는지 살피면서 둘레를 하나하나 짚습니다. ㅍㄹㄴ


군(君) : 1. (성이나 이름 뒤에 쓰여) 친구나 아랫사람을 친근하게 부르거나 이르는 말 2. 듣는 이가 친구나 손아래 남자일 때 그 사람을 조금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하게할 자리에 쓴다

제일(第一) : 1. 여럿 가운데서 첫째가는 것 2. 여럿 가운데 가장

인사(人事) : 1. 마주 대하거나 헤어질 때에 예를 표함. 또는 그런 말이나 행동 2. 처음 만나는 사람끼리 서로 이름을 통하여 자기를 소개함. 또는 그런 말이나 행동 3. 입은 은혜를 갚거나 치하할 일 따위에 대하여 예의를 차림. 또는 그런 말이나 행동

안부(安否) : 어떤 사람이 편안하게 잘 지내고 있는지 그렇지 아니한지에 대한 소식. 또는 인사로 그것을 전하거나 묻는 일 ≒ 평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