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얗게 어루만지는 한 마디
[오락가락 국어사전 4] ‘흰-’은 없고 ‘백(白)-’만 있구나
사전 올림말이 대수롭다고 할 수 없으면서도 대수롭습니다. 사전에 올라야 쓸 만한 낱말은 아니되, 사전에 오르기 때문에 사람들이 한결 널리 쓰는 기틀이 생깁니다. ‘흰-’은 올림말로 없고 ‘백(白)-’만 올림말로 있다면, 한국말사전이 오히려 한국말을 등지거나 멀리한다면, 우리는 어떤 말을 어떻게 쓸 수 있을까요?
채전(菜田) : = 채소밭
채소밭(菜蔬-) : 채소를 심어 가꾸는 밭 ≒ 남새밭·전포(田圃)·채소전·채전(菜田)·포전(圃田)·포지(圃地)
남새밭 : = 채소밭
채소를 심으면 채소밭일 테고, 남새를 심으며 남새밭일 테지요. 그런데 한국말 ‘남새밭’을 “= 채소밭”으로 다루는 풀이는 알맞지 않구나 싶습니다. ‘채전·채소밭’을 “→ 남새밭” 처럼 다루어야지 싶어요.
서가(書架) : 문서나 책 따위를 얹어 두거나 꽂아 두도록 만든 선반 ≒ 삽가·서각(書閣)·책시렁
책시렁(冊-) : = 서가(書架)
책을 놓은 시렁이라면 ‘책시렁’입니다. 이를 굳이 ‘서가’라는 한자말로 옮기지 않아도 됩니다. 말풀이도 이와 같고요.
백사장(白沙場) : 강가나 바닷가의 흰모래가 깔려 있는 곳 ≒ 백모래밭
백모래밭(白-) : = 백사장
흰모래밭 : [북한어] ‘백모래밭’의 북한어
흰모래가 깔린 곳이라면 ‘흰모래밭’이지만, 사전에서는 북녘말로만 다룹니다. 사전 올림말은 ‘백사장’일 뿐 아니라, ‘백모래밭’이 있기도 합니다. ‘백모래밭’은 덜어내고 ‘백사장 → 흰모래밭’으로 고쳐야지 싶습니다.
백(白)- : ‘흰’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흰- : x
사전에 ‘흰-’을 따로 안 올렸군요. 이러다 보니 ‘흰모래밭’ 같은 낱말을 알맞게 다루는 길이 없는 셈입니다. ‘흰’을 뜻하는 앞가지는 한자 ‘백(白)’이 아닌 ‘흰-’으로 올려야 마땅합니다.
백합(白蛤) : [동물] 백합과의 조개. 껍데기는 길이가 8.5cm, 높이가 6.5cm, 폭이 4cm 정도이다. 흰빛을 띤 잿빛 갈색에 붉은 갈색의 세로무늬가 있고 매끄러우며 안쪽은 희다. 식용하며 껍데기는 바둑돌이나 물감 따위의 재료로 쓴다 ≒ 대합(大蛤)·대합조개·마당조개·무명조개·문합(文蛤)·화합(花蛤)
마당조개 : [동물] = 백합(白蛤)
무명조개 : [동물] = 백합(白蛤)
흰빛을 띠는 조개라면 ‘흰조개’라 할 수 있어요. 그런데 ‘백합’이라는 조개는 다른 이름이 있으니 ‘마당조개·무명조개’입니다. 이러한 이름을 알맞게 쓸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사전에 나오는 다른 한자말 이름은 털어낼 노릇입니다.
저음(低音) : 1. 낮은 소리 ≒ 낮은음
낮은음(-音) : = 저음(低音)
낮은소리 : x
소리가 낮을 적에는 ‘낮은소리’라 하면 되고, 클 적에는 ‘큰소리’라 하면 됩니다. 이를 한자로 옮긴 ‘저음’만 올림말로 삼은 모습은 알맞지 않습니다.
체질(體質) : 1. 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몸의 생리적 성질이나 건강상의 특질 ≒ 몸바탕 2. 조직 따위에 배어 있는 성질
몸바탕 : = 체질(體質)
‘체질’하고 비슷한말로 ‘몸바탕’을 붙이지만, 정작 ‘몸바탕’에는 풀이가 없이 ‘체질’하고 같은 낱말로 다룹니다. 예부터 ‘몸바탕’이라는 말을 쓰지 않았을까요? 말을 제대로 살리는 결을 사전에 잘 다루어야겠습니다.
동사(凍死) : 얼어 죽음
얼어죽다 : x
얼어서 죽으니 ‘얼어죽다’라 하면 됩니다. 이를 한자로 옮긴 ‘동사’만 올림말이 되어야 할 까닭이란 없습니다. 더 따져 본다면 ‘동사’ 같은 한자말은 아예 털어낼 만합니다.
전력(全力) : 모든 힘
전력(專力) : 오로지 한 가지 일에 온 힘을 다함
온힘 : x
‘모든’하고 ‘온’은 뜻이 맞물려요. 그래서 “모든 힘 = 온 힘”이라 할 수 있지요. 사전에 ‘온힘’은 없이 한자말 ‘전력’이 두 가지 나오는데, ‘온힘’을 올림말로 삼으면서 두 가지 뜻을 나타내도록 하면 됩니다. ‘온-’이 앞가지가 되어 ‘온힘·온몸·온마음’처럼 알맞게 쓸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가량(假量) : ‘정도’를 뜻하는 접미사
정도(程度) : 1. 사물의 성질이나 가치를 양부(良否), 우열 따위에서 본 분량이나 수준 ≒ 정한(程限) 2. 알맞은 한도 3. 그만큼가량의 분량
-쯤 : ‘정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가량’은 ‘정도’를 뜻한다고 하는데, 한국말 ‘쯤’이 바로 ‘정도’를 뜻한다지요. 이는 ‘가량·정도’ 모두 ‘쯤’으로 고쳐쓰면 된다는 뜻입니다. 사전 말풀이도 이 얼거리를 잘 살펴서 가다듬어야지 싶습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