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없애야 말 된다
부차적
부차적 기능 → 곁딸린 기능 / 덧붙는 기능
부차적 역할 → 곁딸린 몫 / 덧붙는 몫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문제 → 곁딸려 일어나는 문제 / 덧붙여 생기는 문제
금전은 부차적인 가치 이상의 것은 아니다 → 돈은 다른 값어치가 더 있지 않다 / 돈은 더 값어치가 있지 않다
‘부차적(副次的)’은 “주된 것이 아니라 그것에 곁딸린”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곁딸리다’는 “‘곁따르다’의 피동사”라 하고, ‘곁따르다’는 “1. 어떤 것에 덧붙어서 따르다 2. [북한어] 남이 하는데 옆에서 뒤따라 하다”라 합니다. 그러니 ‘곁딸리다·곁따르다’로 손보거나 ‘덧붙다’로 손보면 됩니다. ‘곁가지’나 ‘곁자리’나 ‘딸림자리’라 해 보아도 됩니다. 2017.12.29.쇠.ㅅㄴㄹ
부차적으로 사회적 역할을 위한 인재 양성에 두었다
→ 그 다음으로 사회 구실을 할 사람을 키우려 했다
→ 그런 다음에 사회에 제몫을 할 사람을 키우려 했다
→ 덧붙여 사회에 한몫할 사람을 키우려 했다
→ 덤으로 사회에 제구실 할 사람을 키우려 했다
《여성! 깰지어다, 일어날지어다, 노래할지어다 : 한국기독교여성백년사》(한국기독교 백주년기념사업회 여성분과위원회 엮음, 대한기독교출판사, 1985) 29쪽
노동자 또한 단지 실행만 하는 부차적 위치였다 하더라도 책임을 면키 어려워요
→ 일꾼 또한 그저 심부름만 하는 곁자리였다 하더라도 책임을 벗어나기 어려워요
→ 일꾼 또한 그저 일만 하는 딸림자리였다 하더라도 책임을 벗어나기 어려워요
→ 일꾼 또한 그저 일만 하는 자리였다 하더라도 책임을 벗어나기 어려워요
《10대와 통하는 노동인권 이야기》(차남호, 철수와영희, 2013) 140쪽
왜 이런 부차적인 수단들을 통해서 행복을 추구하는 걸까
→ 왜 이런 다른 길을 돌아서 기쁨을 찾으려 할까
→ 왜 이런 곁가지를 거쳐서 기쁨을 찾으려 할까
→ 왜 이런 곁딸린 길에서 기쁨을 찾으려 할까
《우주 리듬을 타라》(디팩 초프라/이현주 옮김, 샨티, 2013) 15쪽
방패막이가 될 만한 부차적인 이유를 내세우지 않는다
→ 방패막이가 될 만한 까닭을 더 내세우지 않는다
→ 방패막이가 될 만한 덧소리를 내세우지 않는다
→ 방패막이가 될 만한 덧말을 내세우지 않는다
《언어의 온도》(이기주, 말글터, 2016) 25쪽
책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부차적일 때가 있는 법이다
→ 책에 매기는 뜻이 곁딸릴 때가 있는 법이다
→ 책에 매기는 뜻이 덧붙을 때가 있는 법이다
《우리의 고통을 이해하는 책들》(레진 드탕벨/문혜영 옮김, 펄북스, 2017) 21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