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표기 表記


 표기의 주소에서 → 적어 놓은 주소에서

 한글 표기 → 한글 적기

 표기가 맞춤법에 어긋나다 → 글이 맞춤법에 어긋나다

 지도에 표기되는 땅 이름 → 지도에 적힌 땅이름

 다음 내용을 표기해 주세요 → 다음 줄거리를 적어 주세요


  ‘표기(表記)’는 “1. 적어서 나타냄. 또는 그런 기록 2. 문자 또는 음성 기호로 언어를 표시함”을 가리킨다고 해요. 적을 적에는 ‘적다’라 하면 되고, 적은 것은 ‘글’이라 하면 됩니다. 이밖에 사전은 한자말 ‘표기’를 두 가지 다루는데, 둘 모두 털 만합니다. ‘표기(標記)’는 “빗금을 치다”나 ‘빗금’으로 손볼 수 있어요. 2017.11.22.물.ㅅㄴㄹ



표기(標記) : 표가 되게 기록함. 또는 그런 기록

표기(標旗) : 1. 목표로 세운 기 2. [역사] 조선 시대에, 병조(兵曹)를 상징하던 깃발



모두 일본식 외래어 표기 방법에서 온 것이다

→ 모두 일본 들온말 적기법에서 왔다

→ 모두 일본에서 들온말을 적던 버릇에서 왔다

《국어의 갈 길》(정재도, 문헌각, 1962) 126쪽


한국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고 해서 한글이 한국어만 표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한국말을 적는 데 쓴다고 해서 한글이 한국말만 적을 수 있지는 않다

→ 한국말을 옮기는 데 쓴다고 해서 한글이 한국말만 옮길 수 있지는 않다

《한글의 탄생》(노마 히데키/김진아·김기연·박수진 옮김, 돌베개, 2011) 47쪽


한자는 고립어를 표기하도록 고안된 문자이다

→ 한자는 고립어를 적도록 지은 글씨이다

→ 한자는 고립어를 옮기도록 지은 글이다

《한글의 발명》(정광, 김영사, 2015) 28쪽


일본의 풀과 나무 이름은 모두 가나로 표기해도 어떠한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 일본은 풀과 나무 이름 모두 가나로 적어도 어떠한 말썽도 생기지 않는다

→ 일본에서 풀과 나무 이름 모두 가나로 적어도 어떠한 일도 생기지 않는다

《하루 한 식물》(마키노 도미타로/안은미 옮김, 한빛비즈, 2016) 18쪽


모든 문법 교과서들은 문자 표기에서 출발하며

→ 모든 말법 교과서는 글씨 쓰기부터 다루며

→ 모든 말법 교과서는 글씨 적기부터 다루며

《소쉬르의 마지막 강의》(페르디낭 드 소쉬르·에밀 콩스탕탱/김성도 옮김, 민음사, 2017) 151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