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시외버스에서 읽은 책 2017.10.13.


네 사람이 함께 길을 나선다. 아주 오랜만이라 느낀다. 엊저녁에는 두 아이더러 스스로 짐을 꾸려 보라고 일렀다. 두 아이는 “응! 우리가 쌀게!” 하고 목소리를 높였는데, 막상 아이들이 손수 싼 가방을 들여다보니 옷짐이 허술하다. 아이들이 스스로 옷을 빨래하지 못하는데 한 벌씩만 챙겼네. 얘들아, 너희가 너희 옷을 한 벌만 챙기면 모자라단다. 집에서야 가을에 같은 옷을 이틀이나 사흘을 입더라도 바깥에서는 다르지. 아이들이 빠뜨린 옷가지를 챙겨 준다. 이러고서 너른 천을 펼쳐서 옷가지를 싼다. “아버지가 혼자 바깥일을 보러 갈 적에도 말이야, 옷은 가방에 그냥 안 넣어. 천가방에 따로 넣지. 생각나니?” “응.” “너희 옷도 마찬가지야. 가방에 그냥 안 넣고 이렇게 옷가지는 따로 천으로 싼단다.” 아침 일찍 집에서 나서서 고흥읍을 거쳐서 시외버스를 타야 한다. 모두 긴옷으로 잘 챙기도록 하고 일찍 재운다. 작은아이부터 일찍 깨어난다. 어젯밤에 미리 한 빨래는 거의 말랐다. 마루하고 부엌에 빨랫대를 두면 며칠 사이에 바싹 마르겠지. 시외버스는 고흥을 떠나 오수를 거쳐 서울로 간다. 만화책 《사야와 함께》 셋째 권을 읽는다. 풋풋하게 그리는 사랑이 포근하게 흐른다. 근심이나 걱정이 아닌 새로운 꿈하고 길을 담는 마음이기에 “사야와 함께” 보내는 하루가 모두 즐겁다고 이야기한다. 만화책 《트윈 스피카》 여덟째 권을 읽는다. 이 만화책에 나오는 아이도 ‘사야’처럼 고등학생 나이. 다만 《트윈 스피카》는 여덟째 권에서 마무리를 지으면서 고등학교를 마치고 대학교를 다니는 아이들이 나오는데, 별을 가슴에 품고 저마다 다른 길을 씩씩하게 걷는 어여쁜 몸짓이 참 곱다. ‘스피카’ 이야기는 아무래도 별을 사랑하는 마음을 다룬다고 할까. 닿을 수 없는 별이 아닌, 닿으려고 하는 별을 노래한다. 먼먼 별이 아닌 마음에서 피어나는 별을 노래한다. 지는 별이 아닌 새로 돋는 별을 노래한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