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역- 逆
역방향으로 가다 → 거꾸로 가다
공격을 역이용하여 뒤집다 → 공격을 되받아서 뒤집다
역이용도 할 수 있다 → 거꾸로 부릴 수도 있다
역수출 → 뒤바뀐 수출
역효과를 낳다 → 엉뚱하게 되다
역효과를 가져오다 → 거꾸로 안 좋아지다
‘역(逆)’은 “‘반대되는’ 또는 ‘차례나 방법이 뒤바뀐’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라고 해요. 말뜻을 헤아린다면 ‘뒤집히는’이나 ‘뒤바뀐’으로 손볼 만합니다. 때로는 ‘되받다’나 ‘거꾸로’로 손볼 수 있어요. ‘도리어·되레’나 ‘오히려·외려’로 손볼 수 있고요. 2017.7.5.물.ㅅㄴㄹ
그 사람들을 역이용하지
→ 그 사람들을 거꾸로 휘두르지
→ 그 사람들을 거꾸로 부려먹지
→ 그 사람들을 외려 괴롭히지
→ 그 사람들을 외려 들볶지
《타하르 벤 젤룬/홍세화 옮김-인종차별, 야만의 색깔들》(상형문자,2004) 19쪽
그릇된 정보와 역정보
→ 그릇된 정보와 거짓 정보
→ 그릇된 정보와 엉뚱한 정보
→ 그릇된 정보와 얄궂은 정보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반다나 시바/홍수원 옮김-진보의 미래》(두레,2006) 148쪽
역주행 하는 한국정치
→ 거꾸로 가는 한국정치
→ 거꾸로 달리는 한국정치
→ 비틀거리는 한국정치
→ 제 갈 길 잃은 한국정치
〈시민사회신문〉 31호(2007.12.10.)
일본에서 역수입해 올 일이 생길지도
→ 일본에서 거꾸로 들여올 일이 생길지도
→ 일본에서 되레 사올 일이 생길지도
《김준-섬: 살이》(가지,2016) 165쪽
그때마다 난 역질문을 던지고 싶었다
→ 그때마다 난 거꾸로 묻고 싶었다
→ 그때마다 난 되묻고 싶었다
→ 그때마다 난 도리어 묻고 싶었다
《이기주-언어의 온도》(말글터,2016) 157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