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유희 遊戱


 가족들과 유희를 즐기다 → 식구들과 놀이를 즐기다

 우리나라에는 설날의 유희로 → 우리나라에는 설날 놀이로

 노래도 하고 유희도 하고 → 노래도 하고 놀이도 하고


  ‘유희(遊戱)’는 “1. 즐겁게 놀며 장난함 2.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의 육체적 단련과 정서 교육을 위하여 일정한 방법에 따라 재미있게 하는 운동 3. [북한어] 근로자의 휴식과 오락을 위한 놀이”라고 합니다. 뜻풀이에서 알 수 있기도 하듯이 한국말 ‘놀이’를 쓰면 됩니다. 놀이를 하면 즐겁거나 기쁘니, 때로는 ‘즐거움’이나 ‘기쁨’으로 손볼 만합니다. 놀이라기보다 장난스러운 짓을 나타낸다면 이때에는 ‘장난’으로 손보거나 ‘거짓’으로 손볼 수 있어요.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나오는 두 가지 ‘유희’는 털어낼 만하지 싶습니다. 연극영화에서 쓴다는 낱말은 ‘익살놀이’로 고쳐서 쓰면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2017.4.16.해.ㅅㄴㄹ



유희(柳僖) : [인명] 조선 순조 때의 한글 학자

유희(儒戱) : 1. [역사] = 궐희(闕戱) 2. [연영] 광대들이 선비의 모습과 행동을 풍자하여 보여 주던 연극



이런 초인적인 용기와 힘으로 떨치고 일어나지 않는 믿음은 감정의 유희죠

→ 이런 뛰어난 용기와 힘으로 떨치고 일어나지 않는 믿음은 감정 놀이죠

→ 이렇게 씩씩하고 굳세게 떨치고 일어나지 않는 믿음은 장난과 같죠

→ 이렇게 씩씩하고 굳세게 떨치고 일어나지 않는 믿음은 거짓이죠

《문익환-히브리 민중사》(삼민사,1990) 42쪽


시로 노래하는 유희의 힘에서 나온 작품들이다

→ 시로 노래하는 놀이라는 힘에서 나온 작품이다

→ 시로 노래하며 노는 힘에서 나온 작품이다

《헤르만 헤세/두행숙 옮김-그리움이 나를 밀고 간다》(문예춘추사,2013) 70쪽


얼마나 멋진 예술이자 유희인지 친절히 설명한다

→ 얼마나 멋진 예술이자 놀이인지 찬찬히 알려준다

→ 얼마나 멋진 예술이자 기쁨인지 차근차근 밝힌다

《폴 록하트/박용현 옮김-수포자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철수와영희,2017) 148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