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현재다 - 청소년이 만들어온 한국 현대사
공현.전누리 지음 / 빨간소금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하는 배움책 41



‘우리 앞날’을 입시지옥에 가두는 짓은 이제 그만

― 우리는 현재다, 청소년이 만들어 온 한국 현대사

 공현·전누리 글

 빨간소금 펴냄, 2016.12.12. 12000원



  한국말사전에서 ‘미래’라는 낱말을 찾아보면 ‘앞날’로 고쳐쓰도록 풀이합니다. 그렇지만 우리 사회 어른들은 ‘앞날’이라는 낱말보다는 ‘미래’라는 한자말을 훨씬 즐겨씁니다. 앞으로 다가올 날을 뜻하니 ‘앞날’이지만, 이 낱말을 즐겁게 쓰려는 마음이 못 되곤 해요.


  어린이나 푸름이는 어릴 적에 ‘앞날’이라는 낱말을 배우면 아무 어려움이 없이 이 낱말을 써요. 이와 달리 ‘미래’라는 한자말이 입이나 귀에 익은 어른들은 ’앞날“로 고쳐쓰기 어렵습니다. 이미 굳어진 틀이나 버릇을 좀처럼 벗어던지지 못하고 말아요.


  사회를 바꾸는 일, 이른바 개혁도 어른들은 잘 못하곤 합니다. 새로움을 제대로 안 받아들인다고 할까요. 이리하여 어른 사회에 퍼진 잘잘못이 크게 불거질 때면 으레 어린이나 푸름이가 일어섭니다. 어른들은 어린이나 푸름이가 일어서면 ‘머리에 피도 안 마른 것이’ 하면서 나무라려고 하지만, 정작 어른 스스로 잘잘못을 바로잡지 못했다는 대목을 못 보기 일쑤예요.



이처럼 유관순은 3·1운동 만세시위의 단순 참가자가 아니라 만세시위를 하자고 동네의 어른들을 설득하고, 그들과 함께 계획을 짜고, 시위 준비에 필요한 많은 역할을 맡았던 주도자였다. 열여덟 살, 10대의 나이 때 스스로 생각하고 계획하고 발로 뛰어서 만세운동을 만든 것이다. (22쪽)


(1920년대에) 김기전은 전통사회의 ‘장유유서’ 사상이 ‘아이는 어른 마음대로 해도 되는 소유물’이라는 생각으로 변질되었다고 지적하고, 나이가 적다는 이유로 ‘이놈’ ‘저놈’으로 부르거나 하대하지 말고 일제히 경어를 사용해야 함과 더불어 청소년들 사이의 남녀 차별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45쪽)



  공현·전누리 두 분이 빚은 인문책 《우리는 현재다, 청소년이 만들어 온 한국 현대사》(빨간소금,2016)를 읽으면서 어린이·푸름이하고 어른 사이에 흐르는 발자취를 되새겨 봅니다. 어른도 아기로 태어났고, 어린 나날을 보냈으며, 푸른 나날을 배움에 힘썼어요. 우리 사회 모든 어른은 어린이라고 하는 한때를 지났습니다. 아무리 나이가 든 분이라 하더라도 풋풋하면서 싱그럽던 때가 있었지요. 그런데 어른이라는 자리에 들어서면서 그만 기득권이나 권력을 거머쥐고 말곤 해요. 사회를 아름답게 가꾸기보다는 사회를 뒤틀거나 비틀곤 해요,



이승만 정권은 학생들을 계속해서 정부의 행사에 동원해 왔다. 예컨대 1956년에는 이승만 대통령을 다시 당선시키기 위해서 정부 기관들의 권력을 동원해서 그를 지지하는 시위를 대대적으로 열었다. 이때 중고등학생들은 강압적으로 자신의 뜻과 상관없이 시위에 끌려나왔고, 비가 오는 날에도 거리에 나와 이승만을 찬양해야 했다. (87∼88쪽)


(1975년) 당시에는 학교의 일상 자체가 학생들에게 ‘군인’이 될 것을 요구하는 과정이었다. 학생들은 교사와 상급 학생에게 “충성” “멸공”을 외치며 거수경례를 해야 했고, 등굣길에는 교문 지도를 하는 교사에게 하나하나 거수경례를 한 뒤 교문으로 들어서는 풍경이 펼쳐졌다. (107∼108쪽)



  2010년대에는 ‘청소년 강제동원 행사’가 사라졌을까요? 2020년을 앞둔 오늘날에는 ‘애국조회’가 더는 없을까요? 중·고등학생 머리 길이를 자로 재면서 함부로 가위질을 하거나 때리거나 벌점으르 주는 짓은 이제 자취를 감추었을까요? 이름뿐인 자율학습이나 허울뿐인 보충수업은 이제 멀리 사라졌을까요?


  《우리는 현재다》를 읽다가 문득 깨닫습니다. 저는 1991∼1993년에 고등학교를 다녔고, 1988∼1990년에 중학교를 다녔는데요, 이무렵에도 학교에서 골마루를 지나다가 교사를 만나면 오른손을 번쩍 들어 이마에 척 붙이는 거수경례를 해야 했습니다. 군대가 아닌 학교인데 말이지요. 1970년대만이 아니라 1990년대에도 이런 일이 흔했어요. 어쩌다가 학교 아닌 마을이나 시내나 버스에서 교사를 마주칠 적에 깜짝 놀라서 “충성!” 소리를 붙여 거수경례를 한 적도 있는데, 이럴 때에 교사도 깜짝 놀라며 매우 남세스러워했던 모습이 떠오릅니다.



지혜는 학생들도 인간이고 인권이 있다는 당연한 내용의 조례가 반대에 부딪히는 현실에 억울한 마음까지 들었다 … 지혜는 중고등학생들이 두발자유를 요구하며 나섰던 것이 2000년에도 있었던 일이고, 경기도에서 학생인권조례가 최초로 제정되는 변화가 일어나기까지 무려 10년이나 걸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30∼231쪽)



  우리 사회 어른들은 흔히 말하지요. ‘어린이와 푸름이가 우리 미래’라고 말이지요. 비록 ‘미래’라는 낱말은 ‘앞날’로 고쳐써야 한다고 어른들 스스로 한국말사전 뜻풀이로도 밝히지만, 아무튼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우리 앞날(미래)인 줄 어른들도 알아요. 그러나 우리 사회 어른들은 우리 앞날인 어린이하고 푸름이를 입시지옥에 옭아맵니다. 우리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새롭게 꿈을 키워서 즐겁게 살림을 짓도록 북돋우는 일을 제대로 못하고 말아요. 평화를 가르치지 못하고, 민주를 보여주지 못해요. 어깨동무로 나아가지 못하고, 나눔을 베풀지 못해요.


  평화보다 안보를 앞세우면서 군대와 전쟁무기를 너무 부풀리는 어른 사회예요. 민주보다 수구기득권 논리랑 경제성장 논리를 앞장세우는 어른 사회입니다. 어깨동무보다는 비정규직이나 계급차별이 버젓이 있는 어른 사회이지요. 나눔보다는 독점이나 재벌이 불거지는 어른 사회이고요.



(2008년) 청소년들의 이러한 참여와 활동은 촛불집회에 참여한 시민들에게는 활력을 주었지만 정부를 비롯해 어떤 이들에게는 두려움과 걱정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따라 청소년들의 집회 참여를 막으려는 움직임도 생겨났다. 교육청에서는 교사나 장학사 등이 집회 현장에 나온 학생들을 집으로 돌려보내는 ‘지도’에 나섰다. (265쪽)



  푸름이가 학교를 벗어나서 촛불을 듭니다. 2008년에도 2014년에도 2016년에도 이 나라 푸름이는 입시나 교과서를 내려놓고 촛불을 듭니다. 푸름이 스스로 ‘동무를 적으로 삼는 입시지옥’이 얼마나 스스로 옥죌 뿐 아니라 동무랑 이웃까지 괴롭히는가를 똑똑히 깨닫습니다. 그러나 우리 사회 어른이라는 이들은 역사 교과서를 어설피 주무르려 하는 몸짓을 좀처럼 거두어들이지 못합니다. 부정입학과 부정시험을 저지르고도 잘못을 뉘우치지 못합니다. 대통령을 등에 업은 권력을 휘두른 잘못이 들통났으면서도 아직 이 권력이 그들 손아귀에 있는 줄 압니다.


  예부터 어른은 아이를 슬기롭게 이끄는 숨결이었습니다. 예부터 어른이라면 아이한테 아름답고 따사로운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살림을 물려주는 넋이었어요. 예부터 어른은 누구나 아이를 따사로이 어루만지고 넉넉히 끌어안는 기쁜 사랑이었어요.


  ‘우리 앞날’인 어린이와 푸름이는 바로 ‘우리 오늘’이기도 합니다. 우리 앞날을 새롭게 일굴 어린이와 푸름이는 언제나 ‘우리 오늘’이에요. ‘어른 여러분’이 눈을 뜨고 마음을 열어 사회를 아름답게 고치는 데에 힘을 쏟을 수 있기를 빌어요. 이제라도 입시지옥은 걷어치우고 평화롭고 민주다운 배움마당을 열어야지 싶어요. 시험 과목이 아닌 살림살이를 배우고 가르치면서 다 함께 아름다울 이 나라로 새롭게 일굴 수 있기를 비는 마음입니다. 어린이와 푸름이뿐 아니라 우리 사회 어른 모두 ‘앞날이요 오늘’이 되어야지 싶습니다. 2017.1.3.불.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