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허하다 虛
허한 틈을 타서 공격하다 → 빈틈을 타서 공격하다
마음이 허하다 → 마음이 여리다 / 마음이 허전하다
웃음이 허하다 → 웃음이 허전하다 / 웃음이 텅 빈 듯하다
배 속이 허하다 → 배 속이 비다
속이 허하실 텐데 → 속이 비셨을 텐데
몸이 허하다 → 몸이 여리다 / 몸에 힘이 없다
기력이 허하다 → 기운이 없다
‘허(虛)하다’는 “1. 튼튼하지 못하고 빈틈이 있다 2. 옹골차지 못하고 약하다 3. 속이 비다 4. 원기가 부실하다”를 가리킨다고 해요. 이러한 뜻을 헤아린다면 ‘비다’나 ‘여리다’로 손볼 만하고, 흐름을 살펴서 ‘허전하다’나 ‘쓸쓸하다’로 손볼 수 있어요. 2016.11.16.물.ㅅㄴㄹ
마음이 허하다
→ 마음이 허전하다
→ 마음이 텅 비다
→ 마음이 쓸쓸하다
《피우진-여군은 초콜릿을 좋아하지 않는다》(삼인,2006) 205쪽
몸이 허하고 피로하며
→ 몸이 여리고 고단하며
→ 몸에 힘이 없고 지치며
《김태완-시냇가로 물러나 사는 즐거움》(호미,2012) 95쪽
집안 형편까지 엉망이 된 것을 볼 때 마음이 허했다
→ 집안 형편까지 엉망이 된 모습을 볼 때 마음이 허전했다
→ 집안 형편까지 엉망이 된 꼴을 볼 때 마음이 쓸쓸했다
《민종덕-노동자의 어머니, 이소선 평전》(돌베개,2016) 440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