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말 손질 747 : 서툴고 미숙하다



서툴고 미숙하고

→ 서툴고

→ 서툴고 어리숙하고

→ 서툴고 어리고


서투르다 : 1. 일 따위에 익숙하지 못하여 다루기에 설다 2. 전에 만난 적이 없어 어색하다

미숙(未熟) : 일 따위에 익숙하지 못하여 서투름. ‘서투름’으로 순화



  한자말 ‘미숙하다’는 ‘서툴다’로 고쳐써야 합니다. 말뜻으로도 ‘미숙하다 = 서툴다’예요. 그러니 “서툴고 미숙하고”라 하면 겹말이니 ‘미숙하고’를 덜어서 ‘서툴고’로만 적으면 됩니다. 힘주어 말하고 싶다면 “서툴고 어리숙하고”나 “서툴고 어리고”나 “서툴고 어리석고”나 “서툴고 엉성하고”처럼 써 볼 만합니다. 2016.11.12.흙.ㅅㄴㄹ



서툴고 미숙하고 기우뚱한 내 분노에 차이면서도

→ 서툴고 기우뚱한 내 부아에 차이면서도

→ 서툴고 어리고 기우뚱한 내 부아에 차이면서도

《도종환-사월 바다》(창비,2016) 49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