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말 손질 721 : 나의 못난 자격지심



나의 못난 자격지심을

→ 내 못난 모습을

→ 모자란 내 마음을


못나다 : 1. 얼굴이 잘나거나 예쁘지 않다 2. 능력이 모자라거나 어리석다

자격지심(自激之心) : 자기가 한 일에 대하여 스스로 미흡하게 여기는 마음

미흡하다(未洽-) : 아직 흡족하지 못하거나 만족스럽지 아니하다

흡족하다(洽足-) : 조금도 모자람이 없을 정도로 넉넉하여 만족하다

만족하다(滿足-) : 1. 마음에 흡족하다 2. 모자람이 없이 충분하고 넉넉하다



  ‘자격지심’은 “나를 스스로 모자라게 여기는 마음”을 가리킵니다. 한국말사전 뜻풀이를 살피면 ‘자격지심 = 미흡하게 여기는 마음’인데, ‘미흡 = 흡족하지 못함 + 만족스럽지 않음’이요, ‘흡족 = 모자람이 없음 + 넉넉 + 만족’이고, ‘만족 = 흡족함 + 모자람이 없음 + 충분 + 넉넉’이에요. 여러 한자말이 돌림풀이와 겹말풀이로 이어져요. 이를 간추리자면 ‘미흡 = 모자람’이요, ‘흡족·만족 = 넉넉함’이에요. 보기글에서는 “내 자격지심”으로 적더라도 ‘자격지심’이라는 한자말에 ‘나(자기)’라는 뜻이 담기니 겹말이에요. ‘자격지심’을 꼭 쓰고 싶다면 ‘내’을 덜어야 합니다. 그리고 “내 못난”이라는 말마디를 앞에 넣으려 한다면 ‘자격지심’을 털어야 알맞습니다. “내 못난 모습”이나 “내 모자란 모습”이나 “못난 내 마음”이나 “모자란 내 마음”으로 손질해 줍니다. 2016.11.4.쇠.ㅅㄴㄹ



이 책으로 나의 못난 자격지심을 한 알 덜어낸 것 같아 무엇보다도 스스로 기쁘고

→ 이 책으로 내 못난 모습을 한 알 덜어낸 듯해 무엇보다도 스스로 기쁘고

→ 이 책으로 모자란 내 마음을 한 알 덜어낸 듯해 무엇보다도 스스로 기쁘고

《오리여인-우리말 꽃이 피었습니다》(seedpaper,2016) 279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