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발아 發芽


 시상의 발아 → 시로 쓸 생각이 싹틈

 아직 비록 발아에 불과할지라도 → 아직 비록 싹일 뿐일지라도

 발아된 지 2주 정도 지난 → 싹튼 지 두 주쯤 지난

 발아 현미 → 싹눈 현미 / 싹틔운 누런쌀

 종자 발아 → 씨앗 싹트기 / 씨앗 움트기

 발아하지 않는다 → 싹트지 않는다 / 움트지 않는다


  ‘발아(發芽)’는 “1. [식물] 초목의 눈이 틈 2. [식물] 씨앗에서 싹이 틈 3. 어떤 사물이나 사태가 비롯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 한답니다. 한국말사전에는 “≒ 싹트기·아생(芽生)”처럼 비슷한말을 싣기도 합니다. 그런데 ‘싹트기 = 발아’로 풀이를 하고, ‘싹트다’는 “싹이 트다(푸나무에 눈이 트다)”라는 뜻풀이가 안 달리며, ‘아생’이라는 한자말은 쓰임새가 없지 싶습니다. ‘싹트기·싹트다’를 쓰면 되고, 때로는 ‘움트기·움트다’를 쓸 수 있어요. 2016.10.16.해.ㅅㄴㄹ



볍씨가 발아해 모가 되고, 모가 이윽고 벼로 자라 이삭을 맺고

→ 볍씨가 깨어나 싹이 되고, 싹이 이윽고 벼로 자라 이삭을 맺고

→ 볍씨가 움트며 잎이 돋고, 이윽고 벼로 자라 이삭을 맺고

《오제 아키라/박시우 옮김-나츠코의 술 3》(학산문화사,2011) 207쪽


여성들은 곡물의 발아와 번식주기에 주목한다

→ 여성들은 곡물에 싹이 트고 열매를 맺는 흐름을 눈여겨본다

→ 여성들은 곡물에 움이 트고 퍼지는 철을 살핀다

《김삼웅-진보와 저항의 세계사》(철수와영희,2012) 115쪽


발아에 번번이 실패했고

→ 싹트기에 번번이 실패했고

→ 싹트기에 늘 쓴맛을 봤고

→ 움트기가 늘 안 되었고

→ 움을 늘 틔우지 못했고

《김병기-모둠 모둠 산꽃도감》(자연과생태,2013) 5쪽


도토리는 아무데서나 발아할 수 있지만

→ 도토리는 아무데서나 싹틀 수 있지만

→ 도토리는 아무데서나 움틀 수 있지만

《베른트 하인리히/정은석 옮김-홀로 숲으로 가다》(더숲,2016) 159쪽


발아하는 겨울, 그날 동생은 왜 웃었던 것일까

→ 싹트는 겨울, 그날 동생은 왜 웃었을까

→ 움트는 겨울, 그날 동생은 왜 웃었을까

→ 싹이 트는 겨울, 그날 동생은 왜 웃었을까

《휘리-위로의 정원, 숨》(숲속여우비,2016) 25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