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말 손질 427 : 초가집



고향 초가집을

→ 고향 풀집을

→ 고향 흙집을

→ 시골집을


초가집(草家-) : = 초가(草家)

초가(草家) : 짚이나 갈대 따위로 지붕을 인 집

풀집 : 예전에, 가난한 사람들이 살던 풀로 이엉을 한 집

흙집 : 흙으로 지은 집



  한겨레 시골집을 두고 흔히 ‘초가집’이라 일컬었습니다. 지난날 시골에서 기와를 지붕에 얹은 집은 아주 드물고, 참으로 거의 모든 집이 짚으로 지붕을 이었거든요. 짚으로 지붕을 이은 집은 바로 ‘풀(草)’을 지붕으로 삼기에 ‘풀집’인데, 이를 한자말로는 ‘초가’라 합니다. ‘초가’는 ‘풀(草) + 집(家)’인 얼거리예요. 지붕을 풀로 이은 집은 으레 바닥이나 벽을 흙으로 다집니다. 지붕을 얹을 적에도 서까래에 흙을 얹어요. 그래서 ‘풀집’은 ‘흙집’이기도 해요. 어느 모로 본다면 ‘풀흙집’인 셈입니다.


  예부터 집은 ‘집’이라 했기에, 돌집이든 풀집이든 흙집이든 나무집이든 ‘-집’을 붙입니다. 한자를 쓰던 옛사람은 풀집을 두고 ‘초가’라는 이름을 따로 붙였는데, 어느새 ‘초가’라는 이름에 ‘-집’이 달라붙어서 ‘초가집’ 같은 겹말이 생겼어요. ‘풀집 집’인 꼴인 ‘초가집’이라는 한자말입니다.


  오늘날 ‘시골집’은 옛날하고 달라서 풀집이나 흙집은 아니기도 하지만, 예전 시골에 있던 집을 가리키는 자리라면 ‘시골집’이라는 낱말로도 풀집이나 흙집을 가리킬 만해요. 2016.8.15.달.ㅅㄴㄹ



낡은 초가집을 아직도 볼 수 있다

→ 낡은 풀집을 아직도 볼 수 있다

→ 낡은 흙집을 아직도 볼 수 있다

→ 낡은 시골집을 아직도 볼 수 있다

《시바 료타로/박이엽 옮김-탐라 기행》(학고재,1998) 55쪽


곰이는 앵두나무가 함박꽃을 피우던 고향 초가집을 떠올렸습니다

→ 곰이는 앵두나무가 함박꽃을 피우던 고향 풀집을 떠올렸습니다

→ 곰이는 앵두나무가 함박꽃을 피우던 시골 흙집을 떠올렸습니다

→ 곰이는 앵두나무가 함박꽃을 피우던 시골집을 떠올렸습니다

《권정생·이담-곰이와 오푼돌이 아저씨》(보리,2007) 8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