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무구 無垢


 나의 무구를 변명하긴 싫었다 → 내 깨끗함을 둘러대긴 싫었다

 무구한 눈빛 → 맑은 눈빛

 무구한 어린아이 → 깨끗한 어린아이 / 티없는 어린아이

 무구한 한국의 멋 → 해맑은 한국 멋 / 정갈한 한국 멋

 무구한 심정의 소유자 → 맑은 마음인 사람 / 마음이 깨끗한 사람


  ‘무구(無垢)하다’는 “1. 때가 묻지 않고 맑고 깨끗하다 2. 꾸밈없이 자연 그대로 순박하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맑으니 ‘맑다’라 하고, 깨끗하니 ‘깨끗하다’라 할 테지요. 꾸미지 않으니 ‘꾸밈없다’라 하고, 수수하니 ‘수수하다’라 할 테고요. ‘해맑다’나 ‘정갈하다’ 같은 낱말을 쓸 수 있고, 한국말사전에는 없으나 ‘티없다’ 같은 낱말을 새롭게 써 볼 만합니다.


  한국말사전에는 다음처럼 다섯 가지 한자말을 더 싣는데, 거의 쓸 일이 없다고 느낍니다. “굿 도구”이든 “춤 도구”이든 한자말로 애써 지어서 써야 하지 않고, “늙은 무당”은 이 뜻 그대로 쓰면 돼요. ‘유마’라는 사람 이름을 가리키는 한자말을 한국말사전에 두 가지나 실어야 하지 않습니다. ‘무구’이든 ‘병구’이든 “전쟁 도구”나 ‘무기’라고만 써도 넉넉할 테고요. 2016.7.23.흙.ㅅㄴㄹ


무구(巫具) : 무당이 굿을 할 때 사용하는 여러 가지 도구

무구(巫) : 늙은 무당

무구(武具) = 병구(兵具)

무구(無垢) = 유마(維摩)

무구(舞具) : 춤을 출 때 사용하는 도구



무구(無垢)한 자(者)가 고통의 가시밭길을 영원히 헤쳐 나지 못할 때

→ 맑고 깨끗한 사람이 괴로운 가시밭길을 도무지 헤쳐 나지 못할 때

→ 수수하고 꾸밈없는 사람이 고단한 가시밭길을 끝내 헤쳐 나지 못할 때

→ 맑고 수수한 이가 고달픈 가시밭길을 끝끝내 헤쳐 나지 못할 때

《엘리 위젤/곽무섭 옮김-벽 너머 마을》(가톨릭출판사,1981) 1쪽


선생님의 순진무구한 표정들과 마음을 지켜볼 수 있었다

→ 선생님 곁에서 맑은 얼굴과 마음을 지켜볼 수 있었다

→ 꾸밈없는 선생님 얼굴과 마음을 지켜볼 수 있었다

《조문호·김종구-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눈빛,2013) 후기


부끄러움을 모르는 신생아와 같은 무구함

→ 부끄러움을 모르는 갓난아기와 같은 깨끗함

→ 부끄러움을 모르는 아기와 같은 해맑음

《야마다 레이/김보미 옮김-나루사와는 맛있게 먹는 얼굴을 사랑한다 1》(AK 코믹스,2016) 2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